Studies on the Efficiency of Piglet Production by Controlling the Farrowing Time I. Factors on the Normal Farrowing Time in Swine

돼지에 있어서 분만시각의 인위적 조절에 의한 자돈생산 효율에 관한 연구 I. 돼지에 있어서 자돈분만 시각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영채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김창근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윤종택 (한경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 ;
  • 이종완 (공주대학교 축산학과) ;
  • 전광주 (한경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 ;
  • 이석우 (안성시 농촌지도소) ;
  • 이학철 (안성시 농촌지도소) ;
  • 이관순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나광빈 (중국 연변대학 농학원)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o improve the pig farm management and efficiency of swine industry by inducing the farrowing to day-time from night, In the first experiment, reproduction records of purebred and crossbred pi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varepsilon$ ffec 잉 of factors affecting day and night farrowing. The general linear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least square means of the factors affecting variou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also,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examine the independence of the reproductive tra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using the SAS (1992). The comparisons between pure and crossbred pigs for total number born, percentage of number born alive, gestation length, time length for farrowing were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station length of crossbred (115.11 d) was slightly longer than that of purebred (114.89 d, p<0.05). For the seasonal effects on total number born, the largest was found in spring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summer, fall and winter. The average gestation length was 1 day longer in spring and winter than in summer and fall. The total number born and number born alive were smaller in first, second, and greater or equal to sixth parity than other parities. And also, the percentage of no. born alive was least in greater or equal to sixth parity. For the effect of mating methods, natural and artificial insemination, on total number born and number born aliv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found. However, the percentage of number born alive for natural mating was 98.06% and was higher than artificial insemination(93.75%). The time length for farrowing was I hour were found for the 6 hrs of farrowing time. In general situation of pig farms, day-time farrowing was 34.8% and night farrowing was 65.2%, indicating that night farrowing was almost double of the night farrowing.

1995년 3월부터 1996년 5월까지 모돈 2,086두를 대상으로 자돈이 분만되는 현황을 품종, 계절, 산차, 교배방법, 분만소요시간에 따라 번식특성과 주간 $.$야간 분만실태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요인별 번식특성 1. 순종과 잡종간에 번식특성 즉, 총산자수, 생존자돈수, 생존자돈의 비율, 임신 기간 및 분만소요시간에서 임신기간만 유의적인 차이(순종 114,89일, 잡종 115.11일)가 있었다. 2. 계절에 따른 번식특성은 총산자수와 생존자돈수가 봄(10.95두 : 10.38두)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임신기간은 봄에 가장 긴 것(115.1일)으로 나타났다. 3. 산차에 따른 번식특성은 3, 4, 5산의 모돈에서 1, 2산의 모돈과 6산 이상의 모돈보다 총산자수와 생존자돈수가 0.5두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연종부와 인공수정을 시킨 모돈의 임신기간(115.56일 : 114.45일)은 자연종인 경우가 1일 정도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만에 소요된 시간도 자연종부의 경우가 30분 정도 더긴 것으로 나타났다. 5. 모돈이 자돈을 분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2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번식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만에 소요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체적으로 총산자수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존자돈수는 4~6시간에서 (10.29두)와 8시간 이상 시간 (11.17두)에서 많은 결과를 보였다. 2. 요인별 주 $.$ 야간 분만빈도 현재 양돈을 경영하는 농가에서 야간에 분만하는 비율이 평균 약 65%로 주간에 분만하는 비율(약 3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1. 순종이 잡종에 비하여 주간에 분만하는 비율이 약 10% 정도 높았다 (43.18% : 34.26%) 2. 계절에 따른 주 $.$야간 분만빈도를 살펴보면 겨울에는 야간에 분만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높았다 (70.62%). 봄과 가을에는 각각 65.82, 63.32%였으며, 여름에는 비교적 주간분만이 야간분만 성적과 비슷하였다(42.96% : 57.04%). 3. 산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자연종부외인공수정을 시킨 모돈의 경우에는 자연종부의 경우가 주간분만의 비율이 인공수정시보다 약 11%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2.22% : 46.58%).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