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 Potentials of Clone Embryos Derived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복제란의 발육능에 관한 연구

  • Cheong, H.T. (Kangwon-do Stockbreeding Technology Research Center) ;
  • Kwon, D.J.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Y.S.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S.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C.K.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ang, B.K.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C.I.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정희태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 ;
  • 권대진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박연수 ;
  • 황환섭 ;
  • 박춘근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양부근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김정익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cloned embryos derived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and the effect of quiescent treatment, passage number and origin of donor cells on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Fetal skin and liver-derived fibroblast cells were transferred to enucleated oocytes after serum starvation or nontreatment (cycling). After electrofusion. reconstituted embryos were activated with $Ca^{++}$-ionophore and cycloheximide, and cocultured for 7~9 days with BRL cells. Some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 cows 7~8 days post estrus. The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of serum starved cell-derived embryos was higher (25.3%) than that of actively dividing cells-derived embryos (15.9%),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were 23.1~25.0% after transfer of cell passaged 4 to 6 times, and 23.8 and 25.2% after transfer of fetal skin and liver cells, respectively. After embryo transfer, 34.4% and 15.6% of recipient cows were pregnant on Day 60 and 120, respectively, and one male calf was produced from skin-derived vitrified blastocy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was enhanced by quiescent treatment, but did not different among the cells passaged 4 to 6 times, and between skin and liver cells. This result also confirms that offspring can be obtained from the vitrified clone embryo derived from fetal skin cell.

본 연구는 소 태아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핵이식 후 세포의 휴면처리, 세포의 passage 수 및 세포의 기원이 복제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3.57개 월령 한우 수컷 태아의 피부 및 간 조직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체외에서 4∼6 회 계대배양 후 동결하였다가 핵이식에 사용하였다. 세포는 핵이식 전에 혈청기아처리를 하였으며, 대조구로는 활발히 분열 중의 무처리 세포를 사용하였다. Donor 세포는 미수정란의 탈핵세포질에 이식 후 전기융합 및 활성화를 실시하였고, 재구축배는 7∼9 일간 체외배양하여 발육농을 검토하였다. 배반포로 발육된 일부 복제란은 발정 7∼8 일째의 수란우에 이식하였다. 복제란의 배반포 발육율은 혈청기아 처리구 (25.3%)가 무처리구 (15.9%)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세포의 passage 수 (4∼6회) 에 관계없이 23.1∼25.0%로 나타났고, 피부 및 간유래 복제란의 배반포 발육율도 23.8∼25.2% 로 두 조직세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복제란의 이식 후 60일 및 120일에 수란우의 34.4% 및 15.6%가 각각 임신이 확인되었으며, 초자화동결된 태아 피부세포 복제란으로부터 1두의 수컷 송아지가 생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제란의 체외발육능이 세포의 휴면처리에 의하여 향상되었으나, 세포의 passage 수 (4∼6 회) 및 세포의 두 기원 (피부 및 간) 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태아 피부세포 유래 복제란으로부터 산자가 생산될 수 있음을 확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