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airy Farming Status, Reproductive Efficiencies and Disorders in New Zealand (II) A Survey on Reproductive Efficiencies and Disorders in Palmerston North Area

뉴질랜드 (Palmerston North) 의 낙농 현황과 번식 및 번식장해에 관한 연구 (II)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 번식현 황과 번식장해에 관한 조사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Eighty dairy farms (38 farms responded) in Palmerston North area of New Zealand were questioned by mail questionnaire on: 1) general characteristics, 2) milk yield and feed supplementary, 3) reproductive efficiencies (12 questions) and 4) reproductive disorders (12 questions) from February to July, 1998. Among those 4 items, the reproductive efficiencies (3) and disorders (4), various diseases and culling rat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Korean dairy farmers (especially in Cheju island) and compared with New Zea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ifteen farms in 38 dairy farms relied entirely on artificial insemination, the rest of 23 dairy farms (60.5%) raised 5∼6 bulls to increase conception rate. The dairy farmers in Palmerston North used artificial insemination from Oct 4th to Dec 10th for 42.8 days, and then used bulls from that point to coming Jan 10th for 41.4 days. The submission rate within 3, 6 and 10 weeks following the initiation of AI season was 84.7, 93.9 and 97.9% respectively. 2. The average age of heifers at the first estrus, pregnancy and calving was 11.0, 18.0 and 24.7 months respectively, and an average 1.4 estrus cycles were required for conception. The intervals of estrus recurrence and the following conception after calving were 38 and 68 days respectively. 3. Among inseminated cows, calving, abortion and empty cow was 90.9, 1.6 and 7.4% respectively. Calving rat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farm size, while the number of empty cows decreased. 4. Stillbirth, retained placenta and delivery abnormalities were 5.3, 3.7 and 5.5% respectively, not different depend on herd size. 5. The incidence of milk fever, grass tetany, and ketosis was 3.6, 3.0 and 1.0%, respectively. The delivery abnormality and mastitis treated with medicine were 3.1 and 6.7%, but decreased according to farm size. Lameness was 8.6% on average, but over 10% in farms which has more than 400 milking cows. 6. Among the culled cows (15.5% of the total), those culled due to an old age, lameness and other diseases were 2.9, 1.8 and 4.3% respectively and those culled due to low milk production, reproductive abnormality reduced with farm size. 7. Compared with the data collected in Korea, the reproductive efficiency was better, and lameness, metabolic problem and culling rate were higher in New Zealand

New Zealand,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가 80여 개 낙농가에 1998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우편설문지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어진 질문항목은 1) General characteristics, 2) Milk yield 와 feed supplementary, 3) Reproductive efficiencies(14개 질의), 4) Reproductive disorders (12개 질의) 4개 항목을 포함하는 합계 43개의 질문을 내포하고 있었다. 낙농가의 웅답자 38농가 (47.5%)에서 회수된 질의문 4개 항목 중 3), 4) 항목에 해당되는 번식능력 향상을 위한 번식상황, 번식장해, 젖소의 일반적인 질환(대사질환 포함) 및 도태 등에 관한 조사결과를 집계분석하여 우리나라 낙농인 (특히 제주도)들에게 인식시키고, New Zealand 성적과 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almers ton North 지역에서 인공수정만을 실행하고 있는 낙농가는 38농가 중 15농가 (39.5%)뿐이고 나머지 23농가(60.5%)는 임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부분 약 5∼6 마리의 종모우를 확보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농가는 대략 10월 20일경에서 12월 10일 까지 약 42일간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그 후부터 익년 1월 19일까지 (약 42일) 종모우로 자연교미를 시도하고 있었다. 인공수정 개시 후 전체 종빈우 중 3주 동안에 발정 발현율이 84.7%, 6주에는 93.9%, 그리고 10주까지 약 97.9%의 발정두수가 포착되여 임신으로 유도되었다. 2. 미경산우의 첫발정 1월령, 첫수정 l월령 그리고 첫분만 1월령은 각각 대략 11.0, 15.4 과 24.7개월이었고, 임신까지의 수정회수는 약 1.4회였다. 또한 분만 후 발정재귀와 첫수정일은 각각 38,68일로 상당히 우리나라보다 빠른 성적을 보여주고 있었다. 3. 전체 수정두수에 있어서 송아지 분만율은 90.9%이고, 유산된 암소 1.6% 이었으며, 공태율은 7.4% 이었고, 사육규모두수가 증가됨으로써 분만율은 떨어졌으며, 공태율도 약간씩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4. 번식장해에 있어서 사산, 후산정체 그리고 분만장해는 각각 평균 5.3, 3.7, 5.5%로서 사육 규모에 따라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5. 대사질병중 유열, 신경성강직, 케토시스 발생율은 각각 평균 3.6, 3.0, 1.0%로 사육규모 두수별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치료 대상 중에서 분만장해는 평균 3.1%, 유방염 발생은 6.7%로 높았으나, 사육규모가 커질수록 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다리절음은 평균 8.6%로서 400두 이상 사육규모에서 10.1%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낙농가에서 사육 중 도태두수는 평균 15.5%서 연령, 다리절음, 기타 질병에 따른 도태두수는 각각 평균 2.9, 1.8, 4.3%로 사유규모별 차이가 없었으나, 저우유생산량, 번식장해의 의한 도태두수는 각각 평균 4.3, 5.1%로 사육두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7.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성적과 비교할 때 대체로 일반적인 번식효율과 분만장해는 양호하였으나, 발절음, 대사질환, 그리고 도태율 동은 New Zealand 에서 높은 수치를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