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ixing Mode on the Fracture Properties of Silica and Carbon Black Filled NR Vulcanizates

실리카 및 카본블랙이 충전된 천연고무 가황물에서 배합방법이 파열특성에 미치는 영향

  • 박성수 (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 박병호 (금호산업(주) 기술연구소) ;
  • 송기찬 (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 김수경 (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Silica and carbon black filled natural rubber (NR) vulcanizat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modes and amounts of fillers. Curing characteristics, morphology. and tear properties of the NR vulcanizates were investigated. The NR vulcanizates filled with silica and carbon black sequentially showed longer induction time ($t_2$), cure index ($t_{90}$ ), and lower maximum torque ($T_{max}$ ) than the NR vulcanizates filled with them simultaneously, during curing process. The former showed superior dispersion of fillers and tear properties to the latter. The NR vulcanizates containing 30 phr of silica showed excellent properties in the experimental range.

충전물의 함량비 및 배합방법을 달리하여 실리카/카본블랙 충전 천연고무 가황물을 제조하였다. 충전물의 함량은 고무에 대해 70 phr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을 동시에 배합하여 제조한 가황물과 실리카를 먼저 배합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카본블랙을 배합하여 제조한 가황물의 가황특성, 모폴로지, 그리고 인열특성 및 크랙성장속도 등의 파열특성을 비교하였다. 가공시, 단계배합물은 동시배합물보다 경화 속도($t_{90}$ )는 약간 느렸으나, 긴 유도시간($t_2$), 낮은 최대 토오크 값($T_{max}$ )을 보였다. 단계 배합물은 인열특성 및 크랙성장 특성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보였으며, 실리카의 함량이 30 phr인 경우에 가공성 및 파열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ubber Technology M. P. Wagner;M. Morton(ed.)
  2. Rubber Chem. Technol. v.69 S. Wolff
  3. Eur. Polym. J. v.25 M. Nasir;B. T. Poh;P. S. Ng
  4. J. Mater. Chem. v.7 Y. Ikeda;A. Tanaka;S. Kohjiya
  5. Trans. Inst, Nav. Archit.(london) v.55 C. E. Inglis
  6. J. Appl. Polym. Sci. v.10 R. J. Eldred
  7. Phil. Trans. Roy.(London) v.A221 A. A. Griffith
  8. Science and Technology of Rubber J. E. Mark;B. Erman;F. R. Eirich
  9. J. Polym. Sci., Polym. Phys. Ed. v.20 A. N. Gent;R. H. Tobias
  10. J. Appl. Polym. Sci. v.3 A. G. Thomas
  11.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ptimization of Carbon Black Loading in NR Compounds B. Y. Sohn
  12. Rubber Chem. Technol. v.69 G. R. Hamed;H. J. Kim;A. N. Gent
  13. Rubber Compounding(2nd ed.) F. W. Barlow
  14. Rubber Chem. Technol. v.55 J. Janzen
  15. Rubber Technology Handbook W. Hoff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