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oreign Firms업 Corporote Networks in Korea: The Case Study of Business Services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기업네트워크 특성 한국 내 사업서비스업체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병민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networks of foreign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Specifically intrafirm and extrafirm organization of foreign firms are addressed utilizing the corporate network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s for the foreign firms. Parent-subsidiary relationships are focused on the mechanisms by which Transnational Corporations (TNCs) headquarters control and coordinate their foreign affiliates and subsidiaries in order to achieve investment purpose in Korea (overseas market expansion). But extrafirm networks of foreign business services firms in Korea do not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to date. A low proportion of foreign firms is engaged in academics-industry linkages, and a low number o( foreign firms is formally linked with government organiza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trade associations. To conclude,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in business services in Korea are characteristics by globalized intrafirm networks and localized interfirm and extrafirm networks. It is understood that regional development can be vitalized when Korean local firms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echnologically advanced foreign firms in tacit knowledge capacity. Foreign firms are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regional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hould be targeted towards the corporate networking with foreign firms and domestic firms and incrementation of the potential of foreign firms as a knowledge-intensive industry.

본 논문은 한국 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공간특성을 분석함에 있어, 최근 들어 중요한 지식집약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업서비스 부문의 기업네트워크를 살펴보고 제반사항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사업서비스산업의 한국 내 해외직접투자 특성과 지식의 창출과정을 분석한다. 한국 내 외국인직접투자업체의 기업활동 및 모기업과의 관계, 해당지역과의 상호작용, 한국 내 기업외적인 행위자들과 맺는 관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며, 결과적으로 국내외 모 기업 의존형, 지역네트워크 의존형 등의 사이를 통해 기업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한국 내 외국기업은 한국 내 내수시장 개척이라는 주된 투자동기를 중심으로 외국모기업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투자 지분율에 따라 국내 행위자들과 맺는 관계의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암묵적인 지식의 획득과 관련하여서는 고객정보나 시장정보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시장접근형 투자동기에 따른 지역기반의 정보 획득이 중요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산학연계 및 정부기관, 기업협회 등과의 관계는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치는 정보 및 지식의 도입이라는 측면에서 지역경제와의 유기적인 연계, 자발적인 협력 분위기, 지역혁신환경의 창출을 고려하여 기업네트워크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이 강조된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