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전디자인의 속성에 관한 연구 - 문화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usion Design -Especially on the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 박규현 (대구대학교 미술학부 산업디자인전공) ;
  • 김윤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연구조교)
  • 발행 : 2000.08.01

초록

문화의 접속이란 특정한 문화가 영향력을 가지고 다른 문화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것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면 문화의 '침투'이지만 긍정적으로 표현하면 문화의 '융합'혹은 '퓨전(Fusion)'이 된다. 과거에는 민족주의와 국수주의가 사상적으로 이를 불허해왔고, 또 교통과 통신의 불편은 여기에 장애물로 작용했으며, 대부분 토속종교에 영향받는 국가들이었으므로 문화의 융합이란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세계화로 인한 국가관의 붕괴, 지역성의 파괴, 무역장벽의 철폐, 통신의 자유, 정보의 네트워크와 실시간 등은 많은 면에서 상호 이질문화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바로 여기에 퓨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소비사회에 있어서의 퓨전현상은 과거보다 더욱 빠르고 광범위하게 진행 되어간다. 그리고 소비의 기호가 세분화되고 다양한 개성을 찾아나가려는 시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오늘의 상황에서 볼 때 앞으로 더욱 많은 문화인자들이 퓨전이라는 이름 하에 상호 충돌과 절충을 시도하면서 융합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현대의 이러한 새로운 대중문화 양식의 한 현상인 "퓨전(fusion)"에서 특히 사회과학적 문화현상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분야 중 문화현상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실내디자인에서의 퓨전현상을 찾아 이를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최근의 주요 동향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퓨전디자인(Fusion Design)의 방향을 전망하도록하였다.

Cultural contact, which means a current that an influential culture diffuses to another, represents the penetration of the one to the other in a negative respect and'mixture'or 'fusion'of them in an affirmative respect. Fusion of cultures was not easy to take place in the past when nationalism and ultranationalism suppressed it ideologically,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were obstacles to it, and most of countries were under the influences of folk religions. Today, however, mutually heterogeneous cultures can be shared by a lot of things such as collapse of a view of nation resulted from globalization, breakdow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bolition of trade barriers, freedom of communications and realtime information network. Those have rendered fusion possible. Fusion in this modern consuming society is extending much faster and more extensively than at any time in the past. In addition, more and more cultural elements seem to collide and compromise with one another in the name of fusion, not relaxing the bridle of fusion, from the present situations that preference in consumption becomes subdivided and a variety of individuality is strongly attempted to seek for, This study is on the subject of the properties of'Fusion', one of new styles in a mass culture, especially focused on sociologic cultural phenomena.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look for a fusion in interior design which expresses sociologic cultural phenomena most in a field of design, to examine it theoretically, and to prospect a future trend of fusion design based on investigation of the latest prevailing tre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