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환경 하에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인터넷 환경과 현실 환경에서의 제품디자인 이미지 평가 및 디자인 요소 비교분석-

A Study on Product Design Process in Digital Environ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Evaluation and Design Factors in Internet Environment and Reality Environment

  • 윤형건 (광주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 발행 : 2000.08.01

초록

디지털 환경의 전자 상거래는 종래의 물리적 환경(현실환경)에서의 상거래와는 마케팅, 유통구조 둥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특히 소비자의 상품 구매형태에 큰 차이가 있다. 기존의 구매패턴은 제품을 보고 만지고 시험하면서 체험적으로 느껴, 제품의 가치를 판단하여 구매하였는데 이에 반해 디지털 환경하의 전자상거래는 컴퓨터 모니터화면에서 얻은 정보에 의해 제품의 가치를 판단하게 되어 구매 판단의사를 결정하게 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제품의 대다수는 상거래 공간이 디지털 환경이 아닌 현실환경으로 설정하여 일련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게끔 디자인하였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디지털 환경인 사이버공간에서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이 현실을 감안하여 본다면 디지털 환경에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물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서로 다른 두 환경에서 또 같은 제품디자인의 이미지를 피험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1요인에서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이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배경에는 각각의 환경에 따를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적 요소의 전달이 상이하기 때문인 것을 알았다.

Electronic commerce in digital environment is greatly different from the commerce in physical environment in the past (reality environment) in terms of marketing, distribution structure and, above an, comsumers'purchase pattern. The Old purchase pattern is that a consumer buys a product after s/he touches, tests, and feels it physically, while the purchase pattern in electronic commerce enables the comsumer to make a decision about whether to buy it or not through the information gleaned from the computer monitor screen. A number of products which appears in the market now are designed to use the reality environment setup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digital environment, of which the intention is to appeal to consumers with a series of design process. However, taking under consideration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lots of electronic commerce are made in the cyber space or digital environment, we are required to forward the product design which can gains the positive attraction for consumers in this environment. Factor analysis is mad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 image of the design of the product both in reality situation and in digital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the first factor has different images in those environments. In the background of this conclusion rests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of the transfer of formative factors to consumers is made in the images which show themselves in those different environ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