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방송 기술

  • 김진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연구소 방송미디어연구부) ;
  • 안치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연구소 방송미디어연구부)
  • Published : 2000.07.01

Abstract

세계의 주요 선진국들은 90년대 후반에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지상파 방송에 대해서 2010년 이내에 대부분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을 중단하고 완전히 디지털로 이행하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디지 털 TV 방송을 시 작함으로써 고화질, 다채널의 이점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을 통하여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TV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게 되는 등 TV수신기는 향후 각 가정의 정보, 오락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훨씬 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가장 큰 장점으로 대두된 데이터 방송의 세계적인 기술 개발, 표준화 현황 등을 살펴보고 국내 표준화 대응 방향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전자공학회지 v.26 no.6 디지털 방송 기술 동향 특집
  2. ATSC Data Broadcast Specification
  3. DVB Specification for Data Broadcast
  4.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 Part 1: Systems
  5. MPEG-2 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 Control
  6. W3C Recommendation xHTML 1.0 : The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7. Cascading Style Sheets
  8. 한국통신학회지 v.15 no.12 MPEG-4 객체 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 부호화 기술 이명호;안치득
  9. 전자공학회지 MPEG-7 표준화 및 내용기반 정보 검색 김우생;김진웅;임문철
  10. JCCI '99 AIC및 MPEG-7을 이용한 대화형 방송 서비스 김문철;김용석;김진웅;안치득
  11. TV Anytime Forum
  12.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for Home Storage Applications
  13. The Flora Project, Services Over Converging Media: Internet and Digital Television
  14. ATVEF specification for Enhanced Content 1.1
  15. Advanced TV Forum
  16. DVB Multimedia Home Platform, revision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