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oil Animal in the Forest Fire Area

산불지역의 토양동물에 관한 연구

  • 손홍인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부) ;
  • 최성식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il animals at forest fire area, and it carried out the mountain located at Jundae Ri, Houeng-chen Myen, Ha-dong Gun, Kyoung-Nam Province, southern part of Korea, where burned out about 50 hectars on April 11, 1997. Vegetation of the examined area absolutely dominated with the pines of 7-14 cm in diameter and 20 to 30 years old and the rest were covered with mixed forest with a shrub such as the oak (Quereus mongolia Fisch, Quereus variabilis BI, Quereus dentana Thunb), snowbell(Styrax japonica, S, et, z), lacquer tree (Rhus trichocarpa Mig), azalea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etc. And there were simple area organized as a herbaceous plant, and the burnt area was poor experimental sites, where litter layer and herbaceous plant disappeard due to fire, and the unburnt area was rich in surface plant, dead leaves, twigs, etc. But the ground cover vegetations were poor in the unburnt area. The distribution of each animal groups, the seasonal fluctuation in population density, the biomass of meso$.$macroarthropo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animal and some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t each experimental area. The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 1. Identificated 257,087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classified into 7 classes and 24 orders of Arachinida, Insecta, Chilopoda, Symphyla, Diplopoda, Isopoda and Oligochaeta., and identified 8,006 individuals of the total meso$.$macroarthropods were classified into 7 classes and 20 orders of Arachinida, Insecta, Chilopoda, Symphyla, Diplopoda, Isopoda and Oligochaeta. 2. Among the total soil microarthropods, Arachinida formed 70.9%, followed by Insecta for 28.4% and among the total meso$.$macroarthropod , Insecta formed 57.6%, followed by Chilopoda for 23.8%.

본 연구는 산불이 토양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써 1997년 4월 11일에 약 50 ha 정도 화재가 발생한 경남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에 위치한 야산에서 실시되었다. 조사 지역의 식생은 흉고직경 7-14cm, 20-30넌생 소나무가 절대적인 우점종이며 그 밖에 참나무와 수목과 때죽나무, 개옻나무, 진달래, 관목류 등의 혼합림이며, 초본류로 구성되어 있는 지표층은 비교적 단순한 지역이며, 화재지역은 부엽층(약 10cm)이지만, 비화재지역은 낙엽.낙지와 부식층 및 지피식물들이 풍부한지역이다. 토양미소절지동물들은 계절에 따른 밀도와 환경 인자와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중.대형 동물은 계절에 따른 밀도와 생체중이 환경 인자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소절지동물은 7강 24목에 257,087개체수이며, 중.대형 동물은 7강 22목에 8,006개체수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개체군은 거미강, 곤충강, 지네강, 결합강, 노래기강, 연갑강, 빈모 강등이었다. 2. 토양미소절지동물은 전체 257,057개체수중에서 거미강이 70.9%로 가장 높은 개체수 비율을 나타냈으며, 곤충강이 28.4%로 나타나 이들 2군의 합계가 99.45%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고, 중.대형동물에서는 전체 8.006개체수중에서 곤충강이 57.6%로 가장 높은 개체수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이 지네강으로서 23.8%의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