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the appropriate Level of Transit Fare Discount for Transfer Passengers

대중교통 환승요금 적정 할인수준 추정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 황기연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 이우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위촉연구원)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간 환승할인제도를 서울시에서 도입할 경우 할인의 대상적 범위를 확정하고 할인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최적대안을 찾기 위해 서울시 교통혼잡관리를 위해 개발된 SECOMM 모형의 수단 선택패러미터값을 활용한 모의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범위를 서울시로 한정했고, 환승 할인 대상에서 마을버스와 좌석버스가 제외하였다. 모의분석결과 서울시에서 단기적으로 시행가능한 환승할인제도는 버스와 지하철간의 환승만을 대상으로 기존 요금을 500원에서 600원으로 100원씩 인상한 상태에서 이후 수단에 대해 30%가지 할인을 해주는 안이 현실적으로 가장 도입가능성이 높은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이 경우 지하철 이용수요는 0.2% 가까이 늘어나는 대신 버스이용자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간 802억원에 가까운 요금수입 증대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요금의 인상이 없을 경우 이후 수단에 대해 30%를 할인해 준다면 (버스-버스 환승할시) 연간 2,000억 이상의 정부지원이 전제되어야하며 그 이상 할인해줄 경우는 적자규모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현재 운영기관의 재정여건을 감안할 때 도입하기 힘든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분석시 버스와 지하철의 다양한 요금유형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했고 오전첨두시 데이터로 요금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문제가 이으며, 모의분석 결과이기 때문에 현실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운영기관 실무진들의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행을 위해서는 환승할인이 인정되는 시간간격, 할인 방식, 버스하차시 시간기록장치 설치여부 등이 선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월간교통 도시내 대중교통요금 수준의 국제적 비료 권영인
  2. 도시철도 no.겨울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도시철도 요금수준 비교 권영인
  3. 서울시 교통혼잡관리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교통수요관리 효과분석체계의 구축 황기연
  4. 서울시 교통센서스 및 데이터 베이스 서울특별시
  5. Discrete Choice Analysis;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Ben-Akiva, M.;S.R. Lerman
  6. Deep Discount Fares;Building Transit Productivity with Innovative Pricing Oram, R.
  7. NY Transportation Journal no.Fall/WWinter Lessons From MetroCard Fare Initiatives Schaller, B.
  8. TCRP Report 10 Fare Policies, Structures, and Technologi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 Workshop on Transit Fare Policy and Manag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