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FLO와 INTEGRATION 모형을 이용한 버스/트럭 전용차로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Guideline of Exclusive Bus and/or Truck Lane by FREFLO and INTEGRATION Models

  • 엄명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교통부)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발행 : 2000.04.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공로수송의 중심축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버스/트럭 전용차로제 설치조건에 관한 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버스/트럭 전용차로제의 운영효과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교통조건이 존재하는지\ulcorner 그러한 교통조건이 존재한다면 설치조건은 어떠한지\ulcorner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편도 4차로인 고속도로를 분석대상으로 FREFLO 모형과 INTEGRATION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효과척도는 1일 평균 총 통행시간(대-시)이며 4가지 대안(전용차로가 없는 대안, 버스전용차로가 있는 대안, 트럭전용차로가 있는 대안과 버스 및 트럭전용차로가 있는 대안)별 효과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편도 4차로인 고속도로의 운영효과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교통조건은 존재하며 1일 평균 구간 총 교통량이 8만대미만인 경우에는 버스 및 트럭전용차로가 있는 대안이 가장 적은 총 통행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총 교통량이 8만대/일 이상이면 버스전용차로가 있는 대안이 가장 적은 총 통행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결정적, 거시적 모형인 FREFLOW보다는 확율적, 미시적 모형인 INTEGRATION 모형이 대안별 민감도 분석시 예민하게 반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guideline of the exclusive bus and/or truck lane on 8 lanes freeways using FREFLO model and INTEGRATiON model. Four alternatives : do nothing, bus exclusive lane, truck exclusive lane, bus and truck exclusive lane, were evaluated using average daily vehicle travel time as measures of effectiveness. It is found that bus and truck exclusive lane is the most effective alternative reducing total travel time by 7% when ADT is below 80,000 vehicle/day. However, when ADT is above 80,000 vehicle/day and bus Proportion is above 12%, bus exclusive lane is the most effective alternative reducing total travel time by more than 5.6%. It is further found that INTEGRATION, the stochastic and microscopic model, is more sensitive than FREFLO, the deterministic and macroscopic model,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four alterna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1998년도 도로교통량 조사
  2. 고속도로 전용차로제 시행효과 분석 및 개선방안 김수철;배춘봉
  3. 대한교통학회지 v.16 no.3 일반균형이론을 이용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효과분석모형 조중래;하혜종
  4.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 1494 Evaluation of Minesota I-394 High-Occupancy-Vehicle Transportation Allan E. Pint;C.A. Zimmer;J.J. Kern;Leonard E. Palek
  5.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32 Uses of FREQ8PL Model to Evaluation of High-Occupancy-Vehicle Lanes on New Jersey Route 495 Bernard Alper;Marvin C. Gersten
  6.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4 Simulation-Based Methodology for Evaluation of High-Occupancy-Vehicle Facilities D.E. Sheppard;K.L. Head;S. Joshua;Pitu B. Mirchandani
  7. Transportation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High Occupancy Vehicle Lanes;Not Alway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Purpose Lanes Joy Dahlgren
  8.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99 Current Practices in Evaluationg HOV Facilities Katherine F.Turneull;Rober W. Stokes;Russell H. Henk
  9.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46 Evaluation of High-Occupancy-Vehicle Lanes in Phoenix, Arizona Mark J. Poppe;David J.P. Hook;Ken M. Howel
  10.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81 High-Occupancy-Vehicle Treatments, Impacts, and Parameter;Procedures and Conclusion Thomas M. Batz
  11.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46 Use of INTEGRATION Model to Study High-Occupancy-Vehicle Facilities Vinton W. Bacon, JR.;David J. Lovell;Adolf D. May;Michel Van Aerde
  12.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4 Evaluation of High-Occupancy-Vehicle Lanes on Long Island Expressway W.U. Ugolik;Nancy O'Connell;J.S. Gluck;Atma Sook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