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BI의 디자인 동향 고찰

An Observation on the Design Trend of Automotive Brand Image Identity

  • 구상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자동차디자인전공) ;
  • 조철희 (창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발행 : 2000.05.01

초록

자동차와 같이 스타일링이 전체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제품에서는 차체의 스타일과 동시에 BI의 디자인과 그 마무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상품의 다양화와 각종 매체의 발달에 의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과거의 고정적이던 것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는 가변적인 것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으므로 참신한 BI의 이미지 부각은 더욱 중요시된다. 초기의 자동차에서 장식품의 개념에서 시작되어 공업화와 함께 시작된 개별 브랜드의 개념이 독립화 되고 전문화되어 오늘의 BI의 형태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비교적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는 그것을 알려야 하는 요구가 상대적으로 적으나, 후발 메이커의 브랜드는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써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차량에 쓰이는 BI는 브랜드의 조형적인면 뿐 아니라, 재료와 공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와 방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후발 브랜드의 BI에서 단순하면서도 추상성이 강한 조령 방법과, 물리적 마무리에서도 화려한 경향을 가지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he design of Brand Image Identity and it's physical finish especially on the product like an automobile which has the priority in the total body styling. Recently the brand recognition of consumers changed into the variable one that for the various reasons from the rigid in the past and a smart impression of each BI become more important for this reason. The concept of individual brand identity started out from the concept of a simple ornament on the early vehicles.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dvertise the brand itself for the brand that has the relatively long history, while the new brand or maker has to get the reputation on the brand from the consumers. For these reasons, recent automotive BI is on the way of diversifying both in the simple and abstractive design and the physical finish of materials that is used for and the production method and glamorous trend, which is more evident on the BI of the new bran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