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study on tonal structure of ceramic's product -Centering quantitative analysis model-

도자제품의 색체구조의 분석연구 -정량 분석모형을 중심으로-

  • 손연석 (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과)
  • Published : 2000.05.01

Abstract

All artists set the arrangement of relative probability subjectively by giving the contrast of color and chroma to give higher probability of some colors in their works and then perform the mechanical assignment. Also the analysis of plastic structure in all areas of design has been made by subjective and qualitative method based on the emotion, intuition and experience of interpreter of design structures and that of color structures was done by the same metho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suggests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postmodern design with the object quantitative analysis of color structure by selecting and applying Ilya Chashinik's ceramic dishes as the analysis product of modern design and Jim Melchert's ceramic wall painting as that of postmodern design of 'analysis model of color structur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ory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introducing and presenting the analytic procedure and methods centering around quantitative analysis model of color structure analysis.

일반적으로 모든 조형예술에 있어서 어떤 조형예술가든지 그의 작품에서 어떤 요소의 색채에 대해서 보다 높은 확률을 줄기 위해서 색상이나 채도의 대비를 주어서 상대적인 확률의 안배를 주관적으로 설정한 후에 기계적으로 안배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제까지의 모든 디자인영역에 있어서 조형구조에 대한 분석 역시 그 디자인조형물에 대한 해석자의 감성과 직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방법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색체구조에 대한 분석 역시 마찬가지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국에서는 형태와 색채지각 그리고 정보일론(information/communication theory)을 기본 배경으로 한 정량적인 정보분석을 위해서 연구 개발된 '색채구조 분석모형'을 모던디자인의 분석제품으로 선정된 차쉬니크의 도자접시와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멜처트의 벽화를 선정하고, 적용해서 색채구조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분석을 하여서 모던과 포스트모던 다자인에 대한 양식적인 특성을 비교 및 제시하고, 색채구조분석의 또 다른 방법인 정량분석모형을 중심으로 해서 그 분석절차와 방법을 시도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