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개선을 위한 스토어 클리닉 -귀금속점포를 중심으로-

A Store Clinic for Distribution Improvement

  • 이인철 (인덕대학 시각디자인과)
  • 발행 : 2000.02.01

초록

환경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환위기로 인한 정부의 적극적인 외화유치 촉진책으로 외국 유통업체의 국내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소규모 업체의 도산이 이어지고 새로운 소비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경기침체, 감원, 정리해고 등으로 소규모 자본의 창업이 붐을 이루고 있으마 신규 유통개발이나 개선이라는 측면보다는 기존방식의 축소판이나 가맹점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점포주의 경영과 관리가 미숙하며 시장조사나 상권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매출 목표달성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정보기술의 혁신으로 멀티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소비자의 구매형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점포의 적극적인 영업 체계가 필요함으로 점포주에게 소매점 변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상품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제품이미지별 테마를 선정하여 정확히 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귀금속점포를 사례로 디자인 설계안을 제시하여 점포클리닉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점포경영의 선진화를 모색할 수 있다.

From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e foreign exchange crisis has motivated the Government to make the positive promoting policy for holding the foreign currency, leading to a series of small companies' bankruptcy due to foreign distribution companies' advance into our country, creating a new consuming culture. Though inaugurations have been vividly in progress in the aftermath of recession, reduced staffs and arranged layoff, their way gives priority to the reduced frame of the existing method rather tham the development or improvement of a new distribution. It is difficult to attain the sales goal unless a marketing analysis is not properly made, due to store managers' lack in expertism of management. In view of culture, the change of retail stores is imperative at the point that the type of consumers' purchase is rapidly changing and a more positive business system is needed. preventing an opportunistic loss of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outcome such as consumer management, sales management and account management by using computers. In view of design. the display in sale is to interpret products more charmingly, and should make interpretation accurately by selecting an important theme. For this, taking the store for valuables for instance. the progress on the effective foundation and store dinic business by presenting the design blue print can be made, and the strategy coping with the foreign distribution market's rush into Korea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advanced store manag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