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V/LAN 전송망에서 공정성을 고려한 MAC프로토콜의 성능해석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the fairmess MAC protocol under the CATV/LAN network

  • 우상철 (한국항공대학교 항공통신정보공학과) ;
  • 윤종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통신정보공학과)
  • 발행 : 2000.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통신망의 대안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HFC 전속망을 기본 전송망으로 하는 CATV/LAN망에서 새로운 MAC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성능해석을 수행하였다. CATV/LAN 전송망에서 주요 해석의 대상인 상향채널은 단방향 채널 특성과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접속되는 특성이 발생한다. 이런 전송망에서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그 즉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Pi확률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CSMA-CD/U/P(Unsoltted Pi-persistent CSMA-CD)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성능해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전송망에서 공정성을 이루는 데이터 전송 확률값인 Pi의 분포를 구하였으며, 전송망의 공정성이 이루어 졌을 때 평균 지연 시간(mean delay time)을 구했다. 또한, 지연시간의 분산값을 구하였으며 단말의 버퍼큐에서 큐길이(queue length)분포도 구하였다. 평균 지연 시간과 큐길이 분포는 부하가 커질수록, 단말의 수가 많아 질수록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AC protocol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for CATV/LAN network which was based upon HFC(hybrid optic coaxial) increased abruptly as alternative method of high speed network. Upstream channel which analyzed very deeply for CATV/LAN network have the preferential access property depending upon that position and unidirectional property. To solve this fairness problem, we propose the CSMA-CD/U/P protocol that transm it as $P_i$ probability although data packets is immediately transmitted when it was occurred. As the analytic result and simulation, we obtained $P_i$ value and its average delay time. Also, we get its variance value and queue length distribution. The mean delay time and queue length increase as the load and number of stations increase in the CATV/LAN net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IEEE Commun. Mag. v.33 no.8 CATV return path characterization for reliable communications Eldering(et al.)
  2. ACM SIGCOMM '93 A Distributed Queueing Random Access Protocol for a Broadcast Channel W. Xu;G. Campbell
  3. Proc. INFOCOMM '96 A Protocol for Efficient Transfer of Data over Fiber/Cable Systems D. Sala;J. O. Limb
  4. Proc. 1995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Communicity Networking UniLINK as a Media Acccess Protocol for Community Cable TV C. Grobicki;J. M. Ulm
  5. Queueing system v.I L. Klein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