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성 백색 가우시안 잡음과 레일레이/라이시안 페이딩 채널에서 하이브리드 연쇄 길쌈부호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over AWGN and Rayleigh/Rician Fading Channels

  • 김세훈 (아주대학교 전자공학부) ;
  • 윤원식 (아주대학교 전자공학부)
  • 발행 : 2000.01.01

초록

신호 대 잡음비(SNR)가 낮을 때에는, 하이브리드 연쇄 부호화 시스템의 성능분석도구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한다. 그러나, 과대한 시뮬레이션을 요구하는 높은 신호 대 잡음비 영역에서는 BER(비트오류확률)과 WER(위드오류확률)에대한 평균 상한계(average upper bound)가 사용된다. [1]에서, 평균 상한계를 얻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코드의 WEF(weight enumerating functions)가 필요했다. 본고에서는 구성코드로써 RSC(Recursive Systematic Convolutional)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WEF 대신에 유효자유거리(effective free distances)를 사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연쇄 길쌈부호(Hybrid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의 비트오류확률과 워드오류확률에 대한 상한계를 유도하고, AWGN(가산성 백색 가우시안 잡음)과 레일레이/라이시안 페이딩채널에 대한 비트오류확률과 워드오류확률을 분석한다.

In regions of low signal-to-noise ratio (SNR), performance analysis uses simulations of hybrid concatenated coding systems. However, for higher SNR regions beyond simulation capabilities, average upper bounds to bit error rate (BER) and word error rate (WER) are used. In [1], all weight enumerating functions are needed to obtain average bounds. In this paper, we use RSC as constituent codes, by using effective free distances instead of WEF, we derive average BER and WER bounds of hybrid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HCCC) and analyze the BER and WER over AWGN and Rayleigh/Rician fading channels.

키워드

참고문헌

  1. Hybrid Concatenated Codes and Iterative Decoding D. Divsalar;F. Pollara
  2. IEEE Trans. Commun. v.COM-44 Design of parallel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S. Benedetto;G. Montor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