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se-Response Characteristics of Uterotrophic Activity in Immature Female Rats Treated with Estrogen Agonist and Antagonist

  • 한순영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 김형식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 이동하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 오세동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 김태성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 박귀례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
  • 발행 : 2000.03.01

초록

자궁내 반응에 대한 용량 의존적인 효과를 검색하기 위해 에스트로겐 agonist 및 antagonist를 사용하여 미성숙 랫드에서 uterotrophic assay를 실시하였다. 김(2000) 등은 이미 난소절제랫드를 이용한 3-day uterotrophic assay에서 에스트로겐성 물질에 대한 검색 시험을 실시한 바 있다. 양성대조물질인 17-ethinyl estradiol (EE)을 미성숙랫드에 매일 3일간 피하 투여하였으며, EE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차단하기 위한 항에스트로겐성 물질인 ZM189.154은 EE와 병행 투여하였다. 본 시험 결과 EE 1.0$\mu\textrm{g}$/kg 이상 투여군에서는 자공 비대와 fluid 저류등이 대조군에 비해 육안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자궁무게(wet 및 blotted)는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EE 1.0$\mu\textrm{g}$/kg 이상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질무게 증가도 자궁무게 증가와 일치 하였다. EE 0.3$\mu\textrm{g}$/kg을 투여한 후 ZM189, 154 0.1 mg/kg 및 1.0 mg/kg 투여와 비교할 때 EE에 의해 유도된 에스트로겐 활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결과는 ZM189, 154 1.0 mg/kg군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EE는 uterotrophic assay에서 자궁 무게 (wet와 blotted)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ZM189, 154 1.0mg/kg은 EE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미성숙 랫드를 이용한 3-day uterotrophic assay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색 시험법으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