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f Near-Field Dilution Changes Due to Treatment Capacity Expansion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마산.창원 하수종말처리장 증설에 따른 근역희석률변화 예측

  • 유승협 (한국해양연구소 연안·항만공학연구센터)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For the case of the capacity increase of Masan-Changw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changes of near-field dilution rates due to the increased discharges into Masan Bay from the submerged multipart-diffuser were predicted by using CORMIX model. As the increase of wastewater discharges from currently 280,000 m3f day to 720,000 m3fday by 2011, the dilution rates become much lower than the present rates. To enhance the reduced dilution rates, the engineering design changes of diffuser length and alignment were considered as an optimal engineering op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del simulations for these changes, the dilution rates were increased in the strong ambient current of spring tide, but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se changes in the weak current of neap tide in Masan Bay. From the analysis of oceanographic survey data, new outfalls sites have been searched. A promising outfalls site is selected and proposed on the basis of maximum obtainable dilution rates predicted by the model simulations.

수중다공확산관을 통해 1차 처리수를 마산만에 방류하고 있는 마산·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증설계획에 따른 하수방류량의 증가시 현재의 해양방류시설을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 방류하수의 희석률 변화를 예측하였다 하수처리시설 증설후 방류량의 증가에 따라 희석률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현 위치에서 확산관의 배치와 길이를 변경해서 희석률의 개선효과를 CORMIX 모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확산관의 길이가 연장되고 확산관축을 해류방향에 대해 평행보다는 직각이 되게 배치했을 경우 희석률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소조기의 약한 해류에서는 희석률의 변화가 거의 없어 현위치에서의 한계성을 보였다 하수처리장의 2단계와 3단계의 증설에 대비한 새로운 방류위치선정과 확산관의 최적배치로 희석률을 크게 높일수 있는 대안을 모형 모의 결과로부터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폐쇄성 연안해역의 수질관리기술 연구(Ⅰ) 강시환(등)
  2.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11 no.2 마산만 수증방류수의 계절별 근역희석률 변화 강시환;박광순;김상익;유승협
  3. 한국해양환경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임해도시 하수처리장 해양방류시설에 대한 고찰 강시환;오병철;서일원
  4.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2 no.2 마산·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처리수에 대한초기·근역 희석연구(Ⅰ) 강시환;유승협;오병철;박광순
  5.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3 no.1 마산·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처리수에 대한초기·근역 희석연구(Ⅱ) 강시환;유승협;오병철;박광순
  6. 한국해양환경공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수증다공확산관 방류수의 근역혼합특성 해석을 위한 근역모형과 원역모형의 결합 연구 김영도;서일원;강시환;오병철
  7. 마산·창원 하수처리장 2차 확장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마산시
  8. 한국수자원학회지 v.31 no.3 오염물질의 해양방류기술(Ⅲ); 온배수 확산관의 설계 및 시공 서일원;이재형;김창시;이대수;강금석
  9. 한국수자원학회지 v.31 no.4 오염물질의 해양방류기술(Ⅳ); 하수확산관의 설계 및 시공 서일원;이재형;김창시
  10. 진해만 해양관측자료집(Ⅰ)-'82-'83년도 조류, 조석 및 기상관측자료 한국해양연구소
  11. 진해·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Ⅰ) 한국해양연구소
  12. CORMIX2: An expert system for hydrodynamic mixing zone analysis of conventional and toxic submerged multiport diffuser discharges Akar, P.J.;Jirka, G.H.
  13. J. Fluid Mech. v.94 no.2 Stability and mixing of a vertical plane buoyant jet in confined depth Jirka, G.H.;Harleman, D.R.F.
  14. J. Hydr. Engrg. v.117 no.9 Hydrodynamic classification of submerged multiport diffuser discharges Jirka, G.H.;Akar, P.J.
  15. Users manual for CORMIX: A hydrodynamic mixing zone model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ollutant discharges into surface waters Jirka, G.H.;Doneker, R.I.;Hinton, S.W.
  16. J. Hydr. Div. v.105 no.5 Line plume and ocean outfall dispersion Roberts, P.J.W.
  17. J. of Hydr. Div. v.106 no.5 Ocean outfall dilution: Effect of currents Roberts, P.J.W.
  18. J. Hydr. Div. v.115 no.1 Ocean outfalls,Ⅰ: Submerged wastefields formation, Ⅱ:Spatial evolution of submerged wastefields,Ⅲ: Effect of diffuser design on submerged wastefields Roberts, P.J.W.;Snyder, W.H.;Baumgartner, D.H.
  19. Ocean Disposal of Wastewater Wood, I.R.;Beel, R.G;Wilkinson, D.L.
  20. J. Hydr. Engrg. v.125 Prediction of near field plume characteristics using far field circulation model Zhang, X.-Y.;Adams, 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