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PKI 관련 정부 지원 프로젝트 현황 분석

  •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 발행 : 2000.03.01

초록

공개키 기반구조를 이용한 정보보호 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7월 전자서명법이 발효된 이후 민간부분 공개키 기반 구조를 이용한 다양한 인증기관이 구축되고 있고, 이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정부 공개키 기반 구조 구축은 완료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호주, 유럽, 그리고 캐나다에서 수행해왔던 공개키 기반 구조와 관련된 과제의 내용을 파악하고, 각 나라에서 구성된 PKI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공개키 기반 구조를 위한 기술 표준안을 제시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IETF homepage
  2. 전자상거래 보안기술 이만영;김지홍;송유진;염흥열;이임영;류재철
  3. 정보보호센터 홈페이지 연구자료들
  4. Public-Key Infrastructure(X.509)(pkix)
  5.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ublic key authentication framework (PKAF) in Australia Standards Australia
  6. GATEKEEPER : A strategy for public key technology use in the Government OGIT
  7. OGIT
  8. ETS 연구자료
  9. Interworking Public Key Certification Infrastructure for Europe ICE-TEL
  10. 공개키 키관리 체계 표준화 연구 염홍열;윤호선;이강석;김락현;류영규;류종호
  11. X.509 (pkix) Document Security Area IETF
  12. GITS Security
  13. GoC PKI
  14. Government Public Key Authority(GP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