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ulations for Landscape Managements of Historic Cities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역사도시 경관관리법규의 비교 -경주시와 나라시의 사례로-

  • 정성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조세환 (경주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
  • 오휘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e purpose of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ions on landscape management of historic city of Kyongju in Korea, compared with those of Nara in japa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at what is the regulat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management of historic city in Korea. We have analyzed the three laws of the two country - Urban Planning Law, Cultural Assets Protection law, and Building Law. This research has been done in terms of regulative systems of the two country and articles, ordinances, and bylaws on landscape managements of historic city Major components of urban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are goals and devices of preservation, preserving actor, authorized actor permitting major planning change, regulatory power on landscape development, and backgrounds of enacting regulations. From this research, we have fond the fact that 1) Kyongju City has general and implicit objectives of landscape management based on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while Nara City has concrete objectives of lansdscape management, 2) Kyongju City has no regulations on landscape planning while Nara City has systematic planning measures such as designation of landscape management district, planning for preservation of historic landscape, and planning for establishing urban landscape, 3) In an application of landscape management district, Kyongju City designate the district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 of urban planning district while nara City designate it in a more detailed manner such as district of preservation of historic landscape, district of landscape establishment, and district of building agreement. 4) Kyongju has no legal actor in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 landscape plan while Nara City ha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procedures, including citizen participation, public hearing,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d 5) Kyongju City does not operate the consultation committee on landscape management just like Nara City operating. This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us the remedial insights for landscape preservation of such Korean historic city as Kongju, Puyo, and Chunju. Since our research is focused on the limited area of preserving landscape in historic cities in korea and Japan we need to study sociocultural issues on preserving urban historic landscape more in depth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주시 역사환경보전계획 강동진
  2. 경주발전 no.창간 고도시 주민의 도시개발 규제에 관한 인식도 조사 강태호;최재영
  3. 경주시 도시계획 경주시
  4. 경주시 도시재정비계획 경주시
  5. 경주시 통계연보 경주시
  6. 도시계획법제에 대한 비교 법적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7.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라왕경 도시계획 원형탐색과 보존체계설정 연구 김경대
  8.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내 한옥보존지구 지정을 위한 기준에 관한 연구 김경진
  9. 한국조경학회지 v.21 no.1 일본 건축물의 조경에 관한 제도 김승환
  10. 외국 문화재보호 법령집 문화재 관리국
  11. 국토계획 v.34 no.3 한국과 일본의 도시공원녹지제도와 개발수준 비교연구 박승범(등)
  12.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주도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손명문
  13.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도 전주의 역사경관 재구성에 관한 연구 송준태
  14.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15.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국내외 조경관련 법제도에 관란 연구 신익순
  16. 신라사 신형식
  17. 도시문제 도시내 역사적 공간유지의 실태와 문제점 양병이
  18.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환경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역사경관보존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엄서호
  19. 국토계획 v.35 no.2 우리나라 전통경관 보전의 제도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예경록;엄붕훈
  20. 한국조경학회지 v.11 no.2 조경에 관한 제도 및 법규 오휘영
  2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시경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윤인규
  22.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라왕경의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장순용
  23.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역사도시 경관관리의 한·일간 비교연구 정성태
  24. 奈良市都市計劃 奈良市
  25. 奈良市景觀形成基本計劃 奈良市
  26. 奈良市條例關係規程集 奈良市
  27. 奈良市建築協定 奈良市
  28. 平城京 奈良市 國立文化財硏究所
  29. 日本都市史入門 v.1 高橋庚夫 外
  30. 日韓古代都市計劃 中村春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