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Occupancy Evaluation for Village Parks in Seoul

서울시 마을마당의 이용후 평가

  • Kim, Shin-Won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College of Arts and Design,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
  • Heo, Jun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College of Arts and Design,Urban Space Design Studio) ;
  • Park, Yool-Jin (Departmen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Iksan National College)
  • 김신원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 조경학전공,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
  • 허준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 조경학전공, 도시공간디자인연구실) ;
  • 박율진 (국립익산대학 녹지조경학과)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designing Village Parks in Seoul in the future, which result from analyzing post-occupancy evaluation. For conducting this study, 10 Village Parks among 45, built between 1996 and 1997,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10 Village Parks in Seoul has been evaluated on a scale of 10, to be a 6.68 average. This result means that the most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 existing Village Parks in Seoul. The correlation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jor planning factors for 3 types of Village Parks shows that access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future directions of planning and designing Village Parks, many kinds of sitting, leaning and resting place need to be provide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parks with various spatial elements.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various facilities for people's use should be provided in Village Parks.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시 보고서 마을마당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극동건설
  2. 한국조경학회지 v.20 no.2 전주시 도시공원의 이용행태 분석 및 관리실태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세천;허준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도시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박문호;정석;서효정
  4. 한국조경학회지 v.19 no.3 도시공원 이용만족도에 기초한 도시공원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박승범
  5. 서울시 동작구 보고서 주민참여형 마을마당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서울대학교 환경설계·이론연구실
  6. 서울시 보도자료 마을마당조성 서울시
  7. 근린공원의 입지성에 따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서주환
  8. 서울시 보고서 마을마당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무소
  9. 서울시 보고서 마을마당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신성
  10. 서울시 보고서 마을마당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신화컨설팅
  11. 한국임학회지 no.68 설계평가를 통한 도시소공원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안건영;김귀곤;임승빈
  12.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오택섭
  13. 도시문제 10월호 도시소공원의 개념 및 정의 유병림
  14. 한국조경학회지 v.6 no.2 서울시 도시공원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규목
  15. 조경학회지 v.11 no.2 환경설계를 위한 시각적 질의 계획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임승빈
  16. 환경심리행태론
  17. 조경계획설계론
  18. 사회통계방법 차배근
  19. 서울시 근린공원 이용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허준
  20. 한국조경학회지 v.3 no.3 수표소공원을 중심으로 한 도시공간 지각에 관한 연구 현중오
  21. 造園雜誌 v.33 no.3 公園設計た關する基礎的硏究(I) 進士五十八
  22. 都市計劃 no.14 居住環境施設の廣域利用に關する硏究 山村悅夫
  23. Environment and Behavior v.12 Post Occupancy Evaluation : A Practical Strategy for Obtaining Control Groups Carson, D. H.;Carson F.;Margulis S. T.;Wehrli R.
  24. Bull. for Sociology of Leisure Education and Culture v.2 The Quest for Excitement in Leisure Elias, N.;Dunning, E.
  25. Neighborhood Space Herster, R. T. Jr.
  26. J. of Leasure Research v.13 no.1 Psychological and recreational Benefits of Residential Park Ulich, R. S.;Addoms, D.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