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cation Management Algorithm using Logical Area

논리 영역을 이용한 위치 관리 알고리즘

  • 박대근 (LG정보통신 연구원) ;
  • 변태영 (경주대학교 컴퓨터전자공학부) ;
  • 박선영 (계명문화대학 교양과) ;
  • 한기준 (경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제안된 마이크로셀 환경에서는 이동단말의 잦은 서비스 영역 변경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마이크로셀 환경을 고려한 고정 영역 기반 위치 관리 방식은 핑퐁현상(pingpong effect)이 발생할 경우 잦은 위치 등록의 문제점을 보이며 이동 거리 기반 위치 관리 기법은 이동성 관리는 효율적인 반면에 지나친 위치 정보의 유지 필요성으로 인해 실제 구현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영역의 경계에서만 논리 영역이란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고정 영역 기반 위치 관리 기법의 장점은 글대로 이용하면서, 보다 적은 양의 위치 정보로도 이동 거리 기반 위치 관리 방식과 비슷한 위치관리비용만이 소요되는 새로운 위치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 S. Rappaport, Wireless Communications Principle & Practice, Prentice Hall, pp. 26-29, 1996
  2. A. Abutaleb and V. O. K. Li, 'Location Update Optimizat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Networks, Vol. 3, No. 3, pp. 205-216, 1997 https://doi.org/10.1023/A:1019157217684
  3. I. F. Akyildiz and S. M.. Joseph, 'Dynamic Mobile User Location Update for Wireless PCS Networks,' Wireless Networks, Vol. 1, No. 2, pp. 187-196, 1995 https://doi.org/10.1007/BF01202541
  4. D. Plassmann, 'Location Management Strategies for Mobile Cellular Networks of 3rd Generation,' IEEE, VTC'94, Vol. 1, pp. 649-653, 1994 https://doi.org/10.1109/VETEC.1994.345048
  5. 김광식, 조무호, '단말의 전원 상태를 고려한 최적 위치 영역 설정 방식', Proceedings of JCCI'96, pp. 141-145, 1996
  6. S. Okasaka, S. Onoe, S. Yasuda and A. Maebara, 'A New Location Updating Method for Digital Cellular Systems,' IEEE VTC'91, Vol. 1, pp. 345-350, 1991 https://doi.org/10.1109/VETEC.1991.140508
  7. 김태규, 조동호, '개인통신 시스템의 이동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단말 이동특성 적응 영역관리 메카니즘', 정보과학회지(A) 제24권, 제11호, pp. 1180-1190, Nov. 1997
  8. S. M. Joseph and I. F. Akyildiz, 'Mobile User Location Update and Paging Under Delay Constraints,' Wireless Networks, Vol. 1, No. 4, pp. 413-425, 1995 https://doi.org/10.1007/BF01985754
  9. B. Jabbari, 'Teletraffic Aspects of Evolving and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EEE Personal Comm. Mag., Vol. 3, No. 11, pp. 4-9, Dec., 1996 https://doi.org/10.1109/98.556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