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확장 어레이를 이용한 공간스펙트럼의 분해능 향상

Resolution Enhancement of Spatial Spectrum by a virtually Expanded Array

  • 김영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기술연구소(Radio & Broadcasting Technology Lab., ETRI)) ;
  • 김영수 (경희대학교 전자정보학부(School of Electronics & Information,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2000.12.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임의 배열 안테나에 입사하는 다중 협대역 인코히런트 신호를 분리 추정하기 위한 분해능 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의 분해능은 배열 안테나 개구면의 크기에 좌우되므로 분해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개구면을 크게 해야 한다. 그러나 실환경하에서 배열 안테나의 개구면 크기를 증기시키는 것은 비 실용적이므로 배열 안테나의 센서간격을 가상적으로 확장시킴으로서 개구면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적절한 변환 행렬을 사용하여 이 가상 배열 안테나의 스티어링 행렬을 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등간격 협대역 인코히런트 신호가 원형배열 안테나에 입사되었을 경우에 제안된 방법이 표준 MUSIC보다 뛰어난 분해성능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solution enhancement method for estimating direction-of-arrival (DOA) of narrowband incoherent signals incident on a general array. The resolution of DOA algorithm is dependent on the aperture size of antenna array. But it is very impractical to increase the physical size of antenna array in real environment. Therefore we propose the method that increases the aperture size by virtually expanding the sensor spacing of original antenna array and then construct the steering matrix of the virtual array using the proper transformation matrix. Superior resolution capabilities achieved with this method are shown by simulation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MUSIC for incoherent signals incident on a uniform circular array.

키워드

참고문헌

  1. IEEE Trans. on Aerosp. Electron. Syst. v.AES-25 General direction-of-arrival estimation: A signal subspace approach J. A. Cadzow;Y. S. Kim;D. C. Shiue
  2. A signal subspace approach to multiple emitter location and spectral estimation R. O. Schmidt
  3. IEEE Trans. on ASSP v.ASSP-33 no.4 Coherent signal-subspace processing for the detection and estimation of angles of arrival of multiple wide-band sources H. Wang;M. Kaveh
  4. Matrix computations G. H. Golub;C. F. Van Lo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