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I EMISSION LINE DETECTION LIMIT OF FAR-ULTAVIOLET IMAGING SPECTROGRAPH

과학위성 1호 탑재체 원자외선 분광기의 OVI 방출선 검출 한계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re have been a few attempts to measure diffuse line emission between 900 $\AA$ and 1200 $\AA$, and only in a limited number of sight lines has it been detected. The main contributions to the equilibrium radiative cooling curve between $10^{4.5}K\;to\;10^6K$ are from the doublet of Ovi ${lambda}{lambda}1032;and;{lambda}{lambda}1038$ in the FUV spectral region. There are several bright airglow lines which could interfere with attempts to observe the OVI lines. The nearest lines HI 1025 $\AA$, OI 1027 $\AA$ have a combined intensity of about $10^{5.5}$ photons/s/$cm^2$/sr. In the present study, the detectability simulation of OVI doublet is performed using a Monte-Carlo technique and chi-square statistics.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observations and with the predictions of several interstellar medium models, and are used to limit manufacturing and alignment errors of FIMS optical system.

$10^{4.5}K$$10^{6}K$ 사이의 온도를 갖는 고온기체가 주로 복사열에 의해 냉각될 때 900 ${\AA}$에서 1 1,200 ${\AA}$사이의 원자외선 영역에서 OVI 이중선$(\lambda\lambda1032,\lambda\lambda1038)$을 가장 강하게 방출하게 된다. 은하 전체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원자외선 방출선을 검출하려는 시도가 그동안 몇 번 있어왔으나 극히 제한된 일부 시선방향으로만 OVI 방출선이 관측되었을 뿐 관측 자료가 극히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지구 대기로부터 방출되는 여러가지 밝은 대기광들로 인해 OVI 방출선의 관측이 영향을 받게 된다. 대기광중 OVI 방출선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HI 1025 ${\AA}$과 01 1027 ${\AA}$ 두 line이 약 $10^{5.5}K$ photons/s/$cm^2$/sr의 강도 (intensity)로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는 온테카를로 모의실험과 $\chi^2$ 검사 기법 등을 통하여 과학위성 1호에 탑재 예정인 원자외선 분광기로부터 OVI 이중선의 검출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기존의 원자외선 관측 결과 및 이론으로부터 예상되는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OVI 분석 결과를 실제 광학부 제작에 필요한 오차 허용 한계 (tolerance limit)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우주과학회지 v.15 유광선;선광일;민경욱;Edelstein, J.
  2. 한국우주과학회지 v.17 유광선;선광일;육인수;선종호;남욱원;한원용;이대희;민경욱;Edelstein, J.;Korpela, E. J.
  3. UV and X-ray Spectroscopy of Laboratory and Astrophysis Plasma Benjamin, R. A.;Shapiro, P. R.
  4. Ann. Rev. Astron. Astrophys v.29 Bowyer, C. S.
  5. ApJ v.485 Bowyer, C. S.;Edelstein, J.;Lampton, M.
  6. Nature v.217 Bowyer, C. S.;Field, G. B.;Mack, J. E.
  7. ApJ v.465 Dixon, W. V. D.;Davidsen, A. F.;Ferguson, H. C.
  8. Ph.D. Thesis, Univ. of California, Berkeley Edelstein, J.
  9. BAAS v.31 Edelstein, J.;Bowyer, C. S.;Korpela, E. J.;Lampton, M.;Trapero, J.;Gomez, J. F.;Morales, C.;Orozco, V.
  10. private communication Edelstein, J.;Korpela, E. J.
  11. ApJL v.310 Edgar, R. J.;Chevalier, R. A.
  12. ApJ v.352 Houck, J. C.;Bregman, J. N.
  13. ApJ v.219 Jenkins, E. B.
  14. ApJ v.220 Jenkins, E. B.
  15. ApJ v.390 Korpela, E. J.;Bowyer, C. S.;Edelstein, J.
  16. ApJ v.287 Marshall, F. J.;Clark, G. W.
  17. ApJ v.350 Martin, C.;Bowyer, C. S.
  18. ApJ v.269 McCammon, D.;Burrows, D. N.;Sanders, W. T.;Kraushaar, W. T.
  19. BAAS v.31 Shelton, R. L.;Murphy, E. M.;Kruk, J. M.;Moos, H. W.;Oegerle, W. R.;Jenkins, E. B.;FUSE Science Team
  20. ApJ v.427 Shull, J. M.;Slavin, J. D.
  21. ApJ v.124 Spitzer,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