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ivation of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at Inchon District

인천지방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 최계운 (인천대학교 토목공학과) ;
  • 안태진 (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영식 (인천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This paper is to derive the probable rainfall depths and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for Inchon Metropolitan district. The annual maximum rainfall data from 10 min. to 6 hour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Inchon weather station. Eleven type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are considered to estimate probable rainfall depths for 12 different storm durations at the Inchon Metropolitan district. Three tests including Chi-square, Kolmogorov-Smimov and Cramer Von Mises with the graphical analysis are adopted to select the best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are then determined by the least squares method using the trial and error approach. Five types of Talbot type, Sherman type, Japanese type, Unified type I, and Unified type II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best type for the Inchon rainfall intensity. The root mean squared errors are computed to compare the accuracy from the derived formula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ies having Unified type I for the short term duration should be the most reliable formulas by considering the root mean squared erro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computed probable rainfall depth and estimated probable rainfall depth.

본 논문은 인천지방에서의 확률강우량과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천기상대에서 관측된 자료로부터 강우 지속기간 10분 ~ 6시간까지의 연최대강우량을 선정하였다. 12개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11개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 C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도시적 해석법으로 가정 적합한 분포형을 결정하였다. 확률강우도식은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Talbot 형, Sherman 형, Japanese 형의 3가지로 분석하고, 최소자승법과 함께 시산법을 사용하여 통합형I과 통합형II의 형태로 결정하였다. 표준제곱근오차와 계산된 강우강도와 추정된 강우강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여 단기 강우 지속기간에 관한 통합형I의 확률강우강도식을 인천지방 강우강도공식으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88). '한국 확률강우량도의 작성', 수자원관리기법 개발 연구조사보고서, 제2권
  2. 기상청 (1952~1997). 기상연보
  3. 기상청 (1952~1997). 기상월보
  4. 서울특별시 (1991). 하천연안 수공구조물 안전진단 및 관리 대책 조사연구보고서, 서울시
  5. 이승재, 서규우, 허준행, 조원철 (1995). '한강 고안 지점의 홍수위 환산과 홍수 빈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5호, pp.191-204
  6. 이원환 (1967). '국내 지역별 강우특성과 확률 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5권, 제3호, pp.28-38
  7. 이원환 (1980). '도시하천 및 하수도 개수계획상의 계획강우량 설정에 관한 추계학적 해석',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호, pp.81-93
  8. 이원환, 변근주 (1969). '중소하천 및 도시하수도 계획설계에 필요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4호, pp.1-11
  9. 이종태, 윤세의, 이재준, 윤용남 (1993). '유수지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호, pp.115-124
  10. 이재준, 이정식, 전병호, 이종태 (1993). '우수관거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2호, pp.49-56
  11. 이재준, 이정식 (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403-415
  12. 인천기상대 (1952~1997) 강우자기기록지
  13. 인천시 (1999).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보고서 부록 확률강우강도식 연구보고서
  14. 최계운 등 (1999). '인천지방의 지속기간별 연최대강우량 자료 조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3호, pp.60-64
  15. 최영박, 박종훈 (1966). '한국주요도시의 강우강도식형의 지역적 특성연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4권, 제1호, pp.15-29
  16. 최영박, 이선근 (1968). '한국 각 지방의 강우강도와 강도비 C치의 산정에 대하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2호, pp.61-73
  17. 허준행, 김경덕, 한정훈 (1999). '지속기간별 강우자료의 적정분포형 산정을 통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3호, pp.247-254
  18. Wenzel, H. G. (1982). 'Rainfall for urban stormwater design' in Urban Stormwater Hydrology edited by D. F. Kiber, Water Resource Monograph 7,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