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a protocol suite and a session idetifier adaptiation mechanism between GGSN and FA

GGSN과 FA간 프로토콜 구조 및 세션 구별자 적용 기법 설계

  • 김현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T-2000 개발본부 이동성관리연구팀) ;
  • 김영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T-2000 개발본부 이동성관리연구팀장) ;
  • 임선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T-2000 개발본부 핵심망 기술연구부)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Release 99 UMTS/GPRS는 Mobile 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단계별로 3가지 망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1단계 망 구조에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FA(Foreign Agent)간 인터페이스는 구현사항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GGSN과 FA를 동일 플랫폼에서 구현하는 경우와 별도 플랫폼에서 구현하는 경우를 둘 다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는 표준화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GGSN과 FA를 별도의 플랫폼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proprietary한 인터페이스 새로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GGSN과 FA간 새로운 Gi+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트래픽 프로토콜 구조와 신호 프로토콜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GPRS의 GTP(GPRS Tunneling Protocol)ID를 세션 구별자로 사용하고, Gi+ 세션을 관리하기 위해 GGSN에 단말의 상태 관리 모델을 적용하는 SIAM(Session Identifier Adaptation Mechanism)을 설계 하였다. SIAM의 장점은 GGSN과FA 사이에 Mobile IP 신호 전송은 UDP를,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 전송은 IP-in-IP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Gi+ 인터페이스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