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rthodontic bracket

한국형 교정치료용 Bracket의 개발에 관한 연구

  • Chang, Young-I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Won-S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ahm, Dong-Seo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ong-cheo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장영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양원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남동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문성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the Straight-Wire Appliance(SWA) suitable lot the treatment or Korean.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Korean adult with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with following criteria : 1) no functional abnormality in the craniofacial area, 2) good dental arch form and posterior occlusal relationship, 3) Angle Class I occlusal relationship, 4) no experience of orthodontic, nor prosthodontic treatment, especially, no dental treatment on labial and buccal surfaces of teeth, 5) good racial profile. Impression were taken for upper and lower dental arches or the selected normal occlusion samples and the orthodontic dental stone models were fabricated. 5 well-trained orthodontists had examined the acquired dental stone models to select study samples which satisfy the Six keys to optimal occlusion of Andrews. 155 pairs of dental stone models (92 pairs of Male, 63 of Female) were finally selected. 3 dimensional digitization were performed with the Coordinate Measuring Machine(CMM, MPC802, WEGU-Messtechnik, Germany) and measuring of Angulation, Inclination, In-and-Out, Molar offset angle and Arch form were accomplished with a measuring software to achiev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WA. Before the measurement, error study was performed on the 3 dimensional digitization with CMM, and the analysis of reliability of computerized measuring method adapted in this study and conventional manual method Presented by Andrews was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o)lows : 1. Equi-distance digitization with mesh size 0.25 mm, 0.5 mm and 1.0 mm were acceptable in 3 dimensional digitization of dental stone model with the CMM, and the digitization with 1.0 mm mesh size was recommendable in terms of efficiency. 2. Computerized measuring method with 3 dimensional digitization was more reliable than manual measuring method of Andrews. 3. Data wer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SWA suitable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ith the computerized measuring method with 3 dimensional digitization.

한국인의 치열의 특성을 고려한 Straight-Wire Appliance(SWA)의 제작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18세 이상 25세 사이의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를 1) 구강악안면부에 기능장애가 없고, 2) 양호한 치열궁 형태와 긴밀한 구치부 교합관계를 가지며, 3) 교합이 전후방적으로 앵글 분류 I 급의 관계를 가지며, 4) 간단한 수복 치료 외에 교정치료나 보철치료를 받지 않았으며, 특히 치아의 순면과 협면의 형태에 변형을 초래한 치과 치료를 받지 않았으며, 5) 단정한 안모를 가진 자를 선발 기준으로 정하여 선발하였다. 선정된 정상 교합자의 상, 하악 인상을 채득하고, 교정용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치과 석고모형을 분석하여, Andrews의 Six keys to optimal occlusion에 부합되는 표본을 5 명의 숙련된 교정의사들이 선별하여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 치열의 석고 모형 155쌍(남자 92쌍,여자 63쌍)을 얻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정밀측정장비인 Coordinate Measuring Machine(CMM, MPC802, WEGU-Messtechnik, Germany)을 이용하여 3차원 digitization을 시행하고, 계측프로그램을 작성하여 SWA 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Angulation, Inclination, In-and-Out, Molar offset angle, Arch-form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시행하기 전에, CMM을 이용한 3차 원 digitization의 오차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고,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법과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분석법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치과 석고모형의 3차원 digitization에 CMM을 적용하여 mesh size 0.25 mm, 0.5 mm, 1.0 mm로 등간격 디지타이징하는 것은 모두 받아들일 수 있으며, 측정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1.0 mm간격으로 등간격 디지타이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이 Andrews의 방법에 기반한 수작업 방법보다 신뢰성이 높다. 3.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한국인의 치열의 형태학적 특성에 맞는 SWA의 제작을 위한 자료를 채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