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KOREAN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BY COUNTERPART ANALYSIS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Counterpart Analysis)에 의한 한국인의 악안면 두개 골격형태에 관한 연구

  • Sohn, Byung-Wha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Yoon-Jeo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Yang, Choon-S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손병화 (연세대학교치과대학교정학교실) ;
  • 이윤정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양춘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Enlow's counterpart analysis explains the complex with anatomic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here craniofacial aspect of individuals has been developed. The analysis does not compare individual measurement with the normal value from the average of majority but analyzes by comparison of values that each individual has.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Korean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using Enlow's counterpart analysi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has racial and regional variation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the future for growth research and research of the orthognathic surgery. For this study,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00 Korean adult subjects(50 males and 50 females) who had normal occlusion and pleasing face. Measurement points and lines were established using Enlow's counterpart analysis and they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 1. The average angle between PCF and PMV was $38.54^{\circ}$ in males and $38.43^{\circ}$ in females, and the average Wits' appraisal was -2.51 in males and -2.3 in females. The ramus alignment(R4) was 1.89 in males and 2.36 in females. 2. It shows that females have a longer ramus than the PCF compared to the males,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mus/PCF horizontal dimensions (Skeletal A3-B3) between female and male subjects 3. It shows that males have a longer mandibular corpus than the maxilla compared to the females,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llary/Mandibular arches(Skeletal A4-B4)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4. In cranial floor+maxilla/ramus+corpus at A and B points(Al-Bl), which represents difference in total horizontal length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conclusions, compared to Caucasian, Korean have more depressed midface, prognathic mandible, and ramus that rotates inferioposterior. Also, we observe that Korean women have target ramus posterior cranial base, as compared with Korean men. Consequently, the total length of maxilla and mandible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ecause man's mandible is longer than maxilla in comparison with woman's one.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은 개개인에서 두개안면의 구성양상이 발달되어온 해부학적, 발육학적 특징의 복합체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수의 평균에 의한 정상치와 비교하는 것이 아니고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값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개안면의 골격형태에 인종적, 지역적으로 골격형태의 변이가 있으므로 한국인에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적용해봄으로써 한국인 정상교합자에 나타나는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모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 교합자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계측점과 계측선을 설정하고,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F와 PMV 간의 각도는 한국인 남자 평균 $38.54{\pm}2.93^{\circ}$, 여자 $38.43{\pm}2.90^{\circ}$으로 나타났고, Wits' appraisal은 한국인 남자 평균 $-2.51{\pm}3.25$와 여자 $-2.3{\pm}2.26$으로 나타났다. 하악지 배열을 나타내는 R4는 한국인 남자 $1.89{\pm}3.15$, 여자 $2.36{\pm}2.84$를 나타냈다. 2. 후두개저와 하악지의 골격적인 수평 길이 차이를 나타내는 A3-B3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성있게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하악지가 후두개저(PCF)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악골과 하악체의 길이 차이를 나타내는 A4-B4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성있게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하악체가 상악골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4. 상악과 하악의 수평적인 전체 길이차를 나타내는 Al-Bl에서는 남녀에서 성차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하여 중안면부가 함몰되고 하악골은 전돌되며 하악지가 후하방으로 회전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한국인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하악지가 후두개저에 비해 더 크며 이에 보상적으로 하악체는 상악골에 비해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인해 결과적으로 상악과 하악의 전체적인 길이 차이에서는 남녀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