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성숙도와 골성숙도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dental and skeletal maturity

  • 이영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
  • 김광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윤영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Lee, Young-Mi (Department of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Kwang-W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Yoon, Young-Jooh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0.04.01

초록

본 연구는 성장중인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의 수립, 치료방법 및 시기, 예후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판단의 지침이 되는 치아성숙도와 경추 및 수완부 골 성숙도의 연령별 성숙정도와 이들 상호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개인의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성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중,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수완부방사선사진 및 파노라마사진이 모두 있으며,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개파열 및 구순열등의 선천적 기형이 없는 1055명 (남자 458명, 여자 5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상, 하악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성숙도와 경추 (CVMI)및 수완부 (SMI)의 골성숙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모두에서 치아성숙도와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01). 2. 남녀모두에서 수완부 골성숙도와 경추의 골성숙도 사이에 0.91-0.93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남녀모두에서 수완부 골성숙도와 상,하악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성숙도 사이에 0.8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경추의 골성숙도는 상악견치의 성숙도와 0.8의 높은 상관관켸를 보였다. 5. 남녀모두에서 연령별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단계와 치아성숙단계를 구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치아성숙도는 개인의 사춘기 성장정도를 평가하여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 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ntal and skeletal maturation by ages and the correlations among dental maturity,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that of hand-and-wrist, the author used the cephalograms, orthopantomograms, and hand-and-wrist radiograms of 1055 patients (male 458, female 597) aged 7 to 20 years old. In the cephalograms, the skeletal maturity stages of each bone were mainly assessed by Hassel and Farman's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 (CVMI) method. In the orthopantomograms, the dental maturity stages of each tooth were mainly assessed by Nolla's tooth calcification stages method. In the hand-and-wrist radiograms, the skeletal maturity stages of each bone were mainly assessed by Fishman's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among dental maturity,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that of hand-and-wrist in the both sexes (P<0.001). 2.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0.91-0.93) between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that of hand-and-wrist. 3.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0.8) between skeletal maturity of hand-and-wrist and maturity of upper and lower canine,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4. There was high a correlation(r=0.8) between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maturity of upper canine. 5. By the ages, dental maturity,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that of hand-and-wrist were obtained in the both sexes. In summary, dental maturity,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and that of hand-and-wrist we of sufficient diagnostic worth as an index to predict adolescent grow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