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the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Kim Tae-Hy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ang Dae-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Chul-You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Myung-S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김태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양대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김철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최명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 to January 1997, forty-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5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up was 48 months (range : 21 $\~$ 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목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환자의 5년생존율은 43$\%$였다. 40세 이하 46명의 환자는 5년생존율이 69$\%$로서 41세 이상 26명의 환자에서의 5년생존율 45$\%$보다 좋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비록 환자 한명이 치료중 치료를 중단하였으나 유의한 방사선치료에 의한 급성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뇌 신경교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요법였다. 그러나 뇌 신경교종 환자에서 최적의 방사선 시기 및 계획을 수립하고 서로 다른 치료방침에 맞는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보다 잘 짜여진 선행적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병기 및 조직분화도에 따라 질내조사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질 재발이 호발하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중 6명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골반부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원격전이 부위로는 페 3명, 뼈 3명, 쇄골상관절종에 3명이었다. 치료에 대한 혈액학적 급성합병증으로 1명이 grade 4백혈구 감소로 약 3주간 방사선치료를 중단하였으며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grade 2이상의 혈색소 감소 및 혈소판 감소가 각각 2명, 1명이었다. 상부위장관에 대한 급성합병증으로는 grade 2 이하의 오심 및 구토가 8명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수용할만 하였다. 추적관찰 중 복부 또는 골반부위에 만성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민감제로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를 하여 적은 합병증의 발생과 매우 높은 치료반응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로써 복강내 악성종양으로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