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투여 후 배출된 요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FLUORIDE CONCENTRATION IN URINE EXCRETED AFTER FLUORIDE ADMINISTRATION

  • 이보경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연구소) ;
  • 김태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연구소)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연구소)
  • Lee, Bo-Ky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02.29

초록

국소적으로 사용된 불소의 일부와 전신적으로 사용된 불소는 체내로 유입되어 우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적정 수준 이상의 불소가 체내로 유입되면 전신적으로 여러 가지 이상을 일으키는 급성, 만성 불소증과 치아불소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의 우식예방 효과를 가지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적절한 불소량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소의 섭취량을 역추적 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체외로 배출되는 요내 불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들수 있다. 따라서 불소투여 후 불소의 체내 잔류시간과 일별 요내 불소농도를 비교하고자, 7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용량의 불소보조제-대조군 : 불소를 복용하지 않은 군, 1군 : 불소 1mg 복용군, 2군 불소 : 2mg 복용군, 3군 : 불소 3mg 복용군, 4군 : 불소 4mg 복용군 - 를 복용시킨 후 시간변화에 따른 요내 불소농도를 HMDS를 이용한 확산법과 불소이온전극(Orion, 96-09,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요내 불소농도의 평균값은 0.707ppm, 표준편차는 0.362ppm 이었다. 2. 불소투여 후 첫날 요내 불소농도는 4군(4.076ppm), 3군(2.400ppm), 2군(1.494ppm), 1군(0.362ppm) 순으로 높았다. 둘째날부터 1, 2, 3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4군에서는 둘째날까지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투여된 불소량의 증가에 따라 요내 불소농도도 증가되어 유지되었는데, 둘째날까지는 유의성 있게 높게 유지되었고 셋째날부터는 대조군과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Part of the locally applied, as well as the systemic applied, fluoride is absorbed into the body to aid in the prevention of caries. However, beyond a certain level, systemic distribution of fluoride can cause chronic fluorosis with attending systemic symptoms and dental fluorosis. Thus it is vital to determine the level of fluoride with minimal side effects which will provide optimal caries prevention. A commonly utilized method of regressively determining fluoride intade is to measure the fluoride concentration of excreted urine.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earance time and concentration of fluoride in urine after administration of various doses of fluoride using HMDS-diffusion technique and fluoride ion electrode(Orion, 96-09, U.S.A.).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in 7 adult subjects every morning after administration of fluoride supplements such as no fluoride(control group), 1mg fluoride(group 1), 2mg fluoride(group 2), 3mg fluoride(group 3), 4mg fluoride(group 4).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urinary fluoride concentration of control group was $0.707{\pm}0.362ppm$. 2. Fluoride levels followed as group 4(4.076ppm). group 3(2.400ppm), group 2(1.494ppm), group 1(1.051ppm) at day 1 after fluoride administr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urinary fluoride concentration of group 1, 2, 3 and control group after day 2, but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 4 and control group at day 2(p<0.05). 3. Urinary fluorid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plateaued according to increasing fluoride dosage. The increased concentration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till day 2, but after day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