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과 실내실험에서 살충제 Cyfluthrin의 토양 중 반감기 차이에 미치는 환경요인 구명

Elucidation of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in the Half-Life of the Insecticide Cyfluthrin in Soil between Field and Laboratory Tests

  • 임방현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농화학과) ;
  • 임요섭 (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최용화 (상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 한성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농화학과)
  • Lim, Bang-Hy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
  • Lim, Yo-Sup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Hwa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Han, Seong-S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 발행 : 2000.11.30

초록

포장과 실내실험에서 cyfluthrin의 토양 중 반감기에 큰 차이를 나게 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들을 구명하고자 여러 가지 환경조건에서의 분해와 이동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생물 유무, 온도 및 광도의 차이에 따른 분해실험결과에 의해 회귀식에서 구한 cyfluthrin의 분해반감기는 살균토양에서보다 비살균토양에서 1.9배, $15^{\circ}C$에서보다 $25^{\circ}C$에서 1.2배정도 짧았고, 100%차광(암조건)에서 무차광(자연광조건)으로 갈수록 61.4일에서 4.5일로 짧아졌다. 휘발조건에서의 분해반감기는 11.8일이었고 비휘발조건에서는 23.8일로 휘발 유 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Cyfluthrin의 표준품과 제품의 분해반감기는 포장에서 각각 15일과 1일이었고, 실내실험에서는 각각 26일과 3일로 포장에서나 실내실험에서 모두 제품이 표준품보다 짧았다.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분해반감기는 포장용수량의 55% 수분함량에서 28.5일이었고, 포장용수량에서는 2.9일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수분함량이 많을 수록 짧아졌다. 수용액 pH의 차이에 따른 분해반감기는 산성용액에서보다 알칼리용액에서 짧았으나, 포장실험 토양 pH 6.4와 실내실험 토양 pH 5.6에서의 분해반감기는 차이가 없었다. 약제처리후 강우량과 강우시간별 용탈실험에서는 초기 표면처리량의 $81{\sim}94%$ 정도가 토양 컬럼 2cm이내의 층에 존재한 것으로 보아 용탈에 의한 이동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 cyfluthrin의 포장과 실내실험에서 반감기의 현저한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환경요인으로는 토양수분, 광 및 제형이었고, 다음으로는 토양미생물, 휘산이었으며, 온도, pH, 약제처리후 강우량 및 강우시간은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5.88%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98에 대하여 변이원 4-NQO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S. typhimurium TA100과 마찬가지로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4-NQO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표고버섯을 10% 첨가시 각각 54.59%와 55.00%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s megaterium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균체 지방산은 Paenibacillus marcerans의 균종과 유사하여 B16은 더 자세한 동정방법과 분류체계를 통해 명확한 동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따라서 B16은 잠정적으로 Bacillus megaterium B16이라 명명하였다.X>$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cids은 $190^{\circ}C$까지는 $2.51{\sim}4.41$ ppm으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10^{\circ}C$에서 18.92 ppm으로 급증하였고, 이후 $220^{\circ}C$에서 7.20p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in the half-life of the insecticide cyfluthrin in soil between field and laboratory tests carried out in 1998. Degradation and leaching of cyfluthrin in soil were examined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were considered to affect the residuality. Cyfluthrin was degraded 1.9 times faster in non-sterilized soil than in sterilized soil and 1.2 times at $25^{\circ}C$ than at $15^{\circ}C$. The half-lives of cyfluthrin were 61.4 days under the dark condition and 4.5 days under sunlight, and those were 11.8 days under the open condition and 23.8 days under the closed condition. The half-lives of the authentic compound and the commercial product of cyfluthrin were 15 and 1 day in the field test and 26 and 3 days in the laboratory test, respectively. Cyfluthrin was rapidly degraded with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content and decomposed faster in the alkaline solution of pH 12 than in the acidic solution of pH 3, but the half-life of cyfluthrin did not make any difference between pH 6.4 of the field test soil and pH 5.6 of the laboratory test soil. Cyfluthrin was immobile in soil from the results that $81{\sim}94%$ of the initial amount remained in the $0{\sim}2\;cm$ layer of the soil column regardless of the amount and time of rainfall after the chemical treatments. From view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soil moisture content, sunlight and formulation type affected greatly soil microbes and volatilization affected slightly, and temperature, pH and rainfall did not affect the big difference in the half-life of cyfluthrin in soil between the field and laboratory tests in the year of 1998.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