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in its Native Habitat

삽주의 자생지 환경과 생육 특성

  • Published : 200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The soil texture was sandy loam with low pH and high organic matter content compared to general cultivative land. Aerial part growth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length and leaf width was the highest in Tongyong indigenous species, but fresh rhizome weight was the highest in Pyongchang. Frequency of light penetration rate was high at $60{\sim}80%$ of full sun-light, but growth was better in high light penetration rate.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habitat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in 59 districts. Correation among growth characteristics in habitat, fresh rhizome weight was significant with plant height, number of leaf and stem diameter.

삽주의 재배와 효과적인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생지의 환경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생지 토양특성은 유기물 함량이 높고 인산과 마그네슘 함량이 적었으며 약산성의 사양토이었다. 2. 수집지역별 생육은 남부지역 자생종이 중부지역 자생종에 비하여 초장, 엽수, 엽장, 엽폭 등의 지상부 생육이 좋았으나 수량성은 경기, 강원지역이 오히려 높았다. 3. 광투과율이 20% 이상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분포 빈도수가 $60{\sim}80%$에 가장 높았으며, 광투과율이 높을수록 생근중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4. 삽주의 분포 빈도는 표고 $200{\sim}400m$에서 가장 높았다. 5. 임상에 따른 생육은 침엽수림에서 빈도수가 높았으나 생근중은 활엽수림과 관목림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생육특성간의 상관은 초장과 염수 엽장 엽폭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지상부생육과 생근경중 간에는 상관을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