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Round Posts with CCA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주가공재의 CCA 가압처리

  • Kim, Gyu-Hyeo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Kim, Jae-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Kim, Hyung-J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김규혁 (고려대학교 산림자원환경학과) ;
  • 김재진 (고려대학교 산림자원환경학과) ;
  • 김형준 (고려대학교 산림자원환경학과)
  • Received : 2000.01.18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tment variables on CCA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and ezo spruce (Picea jezoensis) round posts. Variables included were duration of initial vacuum (30, 45, or 60 minutes) and maximum pressure applied (8.5, 10.5, or 14.0 kg/$cm^2$), and maximum pressure was maintained until refusal point was reached. Regardless of wood species, extending the duration of initial vacuum more than 30 minutes did not affect treatability. Increasing pressure did not affect preservative penetration; however, preservative retention was affected by pressure levels, particularly at higher level (14.0 kg/$cm^2$). Preservative penetration depth of Japanese red pine met a minimum requirement specified by Notification of Korean Forestry Administration (No. 1999-8) for hazard class H5 of CCA-treated wood. Penetration of preservative in both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was not deep because of shallow sapwood thickness of these species, so pretreatment such as incising should be considered if these species are treated with preservatives. Although retention in Japanese red pin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with 14.0 kg/$cm^2$, that of refractory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pplication of 14.0 kg/$cm^2$. Effect of treatment variables on refusal time was unclear; however, it is cleared that the refusal time was shortened with the increase in sapwood thickness.

본 연구는 CCA 2호를 이용한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추가공재의 가압 방부처리시 처리변수가 처리도(방부제의 침투깊이와 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변수로는 전배기 시간(30, 45, 또는 60분)과 최대 가압력 (8.5, 10.5, 또는 14.0 kg/$cm^2$)이 조사되었으며, 가압은 목재 내로 방부제가 더 이상 주입되지 않는 refusal point까지 지속되었다. 수종에 관계없이 전배기 시간의 30분 이상 연장은 처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가압력의 증가는 방부제 침투깊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보유량에는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볼 때, 방부제의 침투깊이는 소나무>북양가문비나무${\geq}$낙엽송의 순이었는데 변재폭이 넓은 소나무는 적용된 압력에 관계없이 사용환경구분 H5 지역에 사용할 수 있는 CCA 처리재의 최소 방부제 침투깊이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변재폭이 좁은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는 방부제 침투깊이가 깊지 않아 자상처리 등 처리도 개선을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였다. 소나무의 보유량은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난주입수종인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의 경우 가압력 14.0 kg/$cm^2$ 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는 보유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방부제의 목재내 침투가 종료되는 시점인 refusal point에 대한 처리조건의 영향은 불분명하였으나, 가압 소요시간은 북양가문비나무>낙엽송>소나무 순으로 변재율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가압 소요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