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Short-term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reated Landfill Leachate Using Early Stage of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황복 Takifugu obscurus 자치어를 이용한 침출수 단기독성 연구

  • Park, Ho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Han, Kyung-Nam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Kim, Hyung-Sun (Marine Living Resource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박훈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 한경남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 김형선 (한국해양연구소 생물자원개발연구센터)
  • Received : 1999.02.08
  • Accepted : 1999.07.12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Toxic effect of landfill leachate on the larvae and juvenile stage of the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ssess severity of environmental impact of leachate effluent on the general population of estuarine fishes. A short-term toxic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both laboratory hatched larvae and juveniles (5, 10 and 15 mm in length) and in-situ juveniles (30 and 45 mm in length) using the leachate concentrations between 0 and 16%. Lethal concentrations of 50% mortality ($LC_{50}$) were observed using Spearman-karber Method. 24hr-$LC_{50}$ appeared at the leachat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3.03 to 8.57%, 48hr-$LC_{50}$ at 2.73 to 6.21 %, 72hr-$LC_{50}$o at 2.45 to 5.53%, and 96hr-$LC_{50}$ at 2.38 to 4.93%, respectively. Leachate concentrations between 0.69 and 1.51% induced 96hr-$LC_1$. Respiratory frequency was significantly affected even at low leachate concentrations between 0.5 and 1.0%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chate effluents may cause a harmful impact on the physiology of river puffer fish, especially for younger cohorts.

본 연구는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자치어를 이용하여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독성도를 생물검정을 통해 평가하고, 침출수 해양방류가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 및 피해 등을 추론하는데 기본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급성독성 단기실험은 인공수정에 의해 부화된 자치어(전장 5, 10, 15 mm)와 자연산 치어(전장 30, 45 mm)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1996년 9월에 채수한 침출수의 부피비 0%~16%범위로 실험구를 설정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고, 결과로 Spearman-karber Method를 이용한 반치사농도($LC_{50}$)를 구하였다. 전장별 5단계의 24hr-$LC_{50}$은 침출수 농도 3.03~8.57%, 48hr-$LC_{50}$은 2.73~6.21%, 72hr-$LC_{50}$은 2.45~5.53%, 96hr-$LC_{50}$은 2.38~4.93%로 나타났다. 또한, 96hr-$LC_1$은 0.69~1.51%로 나타났다. 행동 관찰 결과, 호흡수에 있어서는 침출수 농도 0.5%와 1%사이에서 영향이 나타났다(P < 0.05). 전장 5 mm의 자어 단계가 가장 높은 $LC_{50}$을 보였으며, 전장 약 15 mm까지는 감소의 경향을 보이다 15 mm이상에서부터 성장에 따라 $LC_{50}$이 증가하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LC_{50}$은 감소하였으며, 감소양상은 성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황복의 자치어에 있어서 침출수 농도 3%이상에서 24시간 내에, 2%이상에서는 96시간 내에 50%의 사망률을 보여 치사의 영향이 나타나고, 침출수 농도 0.5%와 1%사이에서 어체에 생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