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동남해안에서 다시마(Laminaria japonica Areschoug)의 성장, 성숙, 사망률 및 생산

Growth, Reproduction, Mortality, and Production of Laminaria japonica Areschoug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래선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자원연구개발센터) ;
  • 고철환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및 해양연구소)
  • Kang, Rae-Seon (Marine Living Resource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KORDI) ;
  • Koh, Chul-H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and 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9.03.18
  • 심사 : 1999.06.25
  • 발행 : 1999.08.30

초록

대규모 다시마 양식장이 존재하는 동남해 일광 연안에서 다시마의 성장, 성숙, 사망 그리고 생산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실험실에서 배양한 어린 포자체를 수심 3 m에 양성하였고, 1995년 1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양성한 포자체는 이듬해 8월까지 모두 사망하였다. 엽폭, 엽두께, 그리고 습중량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고, 모두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반면 엽장은 5월에 가장 컸으나,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엽장과 중량의 평균치는 최대 199.8 cm와 333.0 g wet wt였다. 생장점에서 자라나는 조직의 총길이와 중량은 각각 384.0 cm와 393.6 g wet wt였다. 이 값을 토대로 계산한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3월(3.6 $cm{\cdot}d^{-1}$)과 5월 (3.8 g wet $wt{\cdot}d^{-1}$)에 각각 최대에 이르렀다. 절대유실률은 2월부터 7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성장률과 유실률의 시간변화는 수온과 해수중의 질소농도와 상관이 있었다. 포자낭군을 지닌 성숙한 포자체는 4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성숙률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다. 생존율은 시간경과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90% 이상의 개체들이 양성 후 56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2월 이후의 사망률은 엽장 30 cm 이하인 개체들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크기 종속적 특성을 보였다. 생물량은 7월에 최대(285.6 kg wet $wt{\cdot}m^{-2}$)에 이르렀고, 이 해역에서 다시마의 연간생산량은 758.7 kg wet $wt{\cdot}m^{-2}$였다.

Growth, reproduction, mortality, and production of Laminaria japonica were experimentally studied at a cultivation ground on the coast of llkwang, where the largest amount of cultivated Laminaria has been produced in Korea. For this experiment, young sporophytes (0.33 cm in mean length) grown in the laboratory were transplanted at the depth of 3 m and field surveys on them were conducted twice a month from December, 1995 to August, 1996. Plants exhibited an annual life span; they were completely dead by August. Frond width, thickness, and wet weight showed similar pattern of seasonal growth and reached their maxima in July, but frond length showed no more increment after May. Maximum mean frond length and weight were 199.8 cm and 333.0 g wet wt., respectively. Overall meristematic growth in length and weight were 384.0 cm and 393.6 g wet wt., respectively. Absolute growth rates (AGR) which were calculated from the length of tissue developed from meristem varied seasonally; AGR of length and weight reached maxima in March (3.6 $cm{\cdot}d^{-1}$) and May (3.8 g wet $wt{\cdot}d^{-1}$), respectively. Absolute attrition rates gradually increased from February to July. Seasonal differences in growth and attrition rates appeared to be related to seawater temperature and nitrogen concentration in seawater. Reproductive sporophytes bearing sprorangium sorus began to occur from April, and the ratio of sorus area to blade area reached its maximum in July (0.034). Survival rate was exponentially decreased; more than 90% of plants decayed within 56 days after outplanting. After February, mortality was size-specific; mortality of smaller plants less than 30 cm in length were relatively higher. Maximum biomass occured in July (285.6 kg wet $wt{\cdot}m^{-2}$) and annual production was 758.7 kg wet $wt{\cdot}m^{-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