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s Lesion) - A Case Report -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 병변) - 증례 보고 -

  • Shin, Bong-Kyun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 Hyun-Deuk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um, Bum-Woo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Jong-San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Chul-Hwa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신봉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조현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염범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최종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김철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We report a case of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right femur in an 18-year-old man. Roentgenograms showed a calcific mass attached to the underlying cortex with a broad base. Histologically, the lesion showed hypercellular cartilaginous tissue with maturation into trabecular bone, which contained spindle cells and lymphocytes in the intertrabecular spaces.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s are a form of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should not be mistaken for osteosarcoma or chondrosarcoma.

저자들은 18세 남자 환자의 우측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Nora 병변)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사선 소견상 비교적 경계가 좋은 석회화 병변이 하부 대퇴골의 피질 표면에 붙어 있었으며 병변은 넓은 기저면을 갖고 있었다. 대퇴골의 변형은 없었고, 병변과 대퇴골간의 골수강의 연결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병변은 연골, 골 및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연골은 세포밀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과염색증이나 다형성세포는 없었다. 불규칙한 골과 연골간의 경계와 연골내 골화를 보였다. 골소주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고 배경 기질에서 방추형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학적 비정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병변은 일종의 이소성 골화로써 반응성 병변으로 간주되며,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으로 골육종이나 연골육종과 같은 악성 병변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