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세포 폐암에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이용한 골수 미세전이(naicronaetastasis)의 분석

Analysis of Bone Marrow Micrometastasis Using RT-PCR in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rcinoma

  • 김태유 (원자력병원 실험치료연구실) ;
  • 박종국 (원자력병원 실험치료연구실) ;
  • 류백렬 (원자력병원 실험치료연구실) ;
  • 임영혁 (원자력병원 실험치료연구실) ;
  • 강윤구 (원자력병원 실험치료연구실)
  • Kim, Tae-You (Laboratory of Experimental Therapeutics,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Park, Jong-Kook (Laboratory of Experimental Therapeutics,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Ryoo, Baek-Ryeol (Laboratory of Experimental Therapeutics,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Im, Yung-Hyuck (Laboratory of Experimental Therapeutics,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ang, Yoon-Koo (Laboratory of Experimental Therapeutics,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발행 : 1999.12.30

초록

연구배경: 소세포 폐암은 진단 당시 약 20% 이상에서 진단 당시 골수전이가 발견됨으로써 초기의 혈행성 전이가 중요한 예후인자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진단 또는 치료당시 기존의 검사수기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미세전이를 확인할 수 있다면 환자의 치료방침 및 예후결정에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최근 cytokeratin(CK)-20 이 골수와 같은 조혈기관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면서 상피세포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서 이 표지자가 소세포 폐암과 같은 상피세포암의 골수 미세전이의 발견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사사하고 있다. 방 법: 소세포암세포주인 H209와 정상인의 혈구세포를 대상으로 CK-20 발현을 비교하였고, 소세포 폐암환자의 병기결정을 위한 경사로서 골수천자를 시행하면서 동시에 골수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RNA를 수출하여 CK-20에 대한 primer를 이용하여 RT-PCR을 시행하였다. 결 과: H209 세포주에서는 CK-20의 발현이 관찰된 반면, 정상 혈구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아서 CK-20이 조혈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상피조직에 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28명의 소세포 폐암환자중 제한기가 11명, 확장기 환자가 17명이었으며, 17명의 확장기 환자가운데 골수조직검사상 골수 침범이 확인되었거나 또는 골주사검사상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7명(41%)이었다. CK-20에 대한 PCR 결과 각각 LD 11예종 l예(10%), ED 17예 중 1예(6%)에서 CK-20의 증폭이 관찰되었다. CK-20의 증폭이 관찰된 2예 중 ED 환자는 골수전이가 있었고, LD 환자는 진단당시는 원격전이가 없는 제한기의 환자였으나 후에 골전이가 관찰되었다. 결 론: 증폭이 관찰된 2 예의 환자가 모두 임상적으로는 골수 전이가 없는 상태에서 골전이가 발견됨으로써 CK-20의 발현이 혈행성 미세전이의 발견에 유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는 있으나, 골수전이가 확인되었던 7명중 6명에서는 CK-20이 발현되지 않아서, CK-20 보다 좀 더 유용한 표지자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bout 20% of small cell lung cancer(SCLC) patients have bone marrow(EM)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the remaining patients are also considered with micrometastasis. In an attempt to detect EM micrometastasis, we used cytokeratin(CK)-20 as a molecular marker, which is specific for epithelial cells. Method: A sensitive RT-PCR assay was used to compare CK-20 expression both in SCLC cell line H209 and normal leukocyte and to evaluate EM aspirates of 28 SCLC patients. Result: H209 cell line showed CK-20 expression but normal leukocyte did not, suggesting CK-20 expression is lung tissue-specific. Of 28 patients(11 limited disease, 17 extensive disease), only 2(1/11, 1/17) samples tested revealed positive signal for CK-20. Two patients with CK-20 expression had EM metastasis or multiple bone involvement during follow-up. Conclusion: Although circulating tumor cells were detected in EM of small portion of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CK-20 doesn't seem to be a reliable marker for the detection of micrometastasis in SCLC. This study emphasizes that identification of more specific marker for micrometastsis is mandatory prior to clinical appli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