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iologies and Prognostic Factors of Chronic Cor Pulmonale

만성 폐성심의 원인 질환 빛 예후 인자에 관한 연구

  • Park, Yoong-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 Jae-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An, Byoung-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 Woo-H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Go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un, Kook-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Taek-J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on-Kew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hin, Yung-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융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상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하재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병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배우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현국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전국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택종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순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영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etiologies,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of patients with chronic cor pulmonale visited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03 patients with chronic cor pulmonale. There were 67 men and 36 women. The diagnosis of chronic cor pulmonale was primarily based on the presence of underlying lung disorder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 of enlarged or hypertrophied right ventricle. Other clinical data including patients' symptoms and signs, findings of arterial blood gas analysis, hematologic and biochemical laboratory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assessed. Results: The most common underlying lung disorder was pulmonary tuberculosis(59.2%)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as the next(28.2%). The survival rate was 57% in one year, 45% in two years, and 34% in three years. The prognostic factors were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MVV), forced vital capaoity(FVC), $FEV_1$ serum Na, vital capacity(VC), serum albumin and peak expiratory flow(PEF) in univariate analysis. And in multivariate analysis, serum albumin(p=0.0144) and VC(p=0.007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Pulmonary tuberculosis was the most important underlying lung disorder in chronic cor pulmonale. The survival rate was 57% in one year, 45% in two years, and 34% in three years. Serum albumin (p=0.0144) and VC(p=0.007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연구배경: 본원을 방문한 만성 폐성심 환자를 대상으로 만성폐성심의 원인 질환과 생존율 및 예후 인자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을 방문한 만성 폐성심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의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만성 폐성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저 폐질환을 확인하고, 임상적으로 급성 폐성심이 의심되는 경우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만성 폐성심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우심실의 확장 또는 비대가 관찰되는 경우로 하였다. 그와 내원 당시의 임상 증상, 진찰 소견 및 각종 검사 수치를 정리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총 103명이었고 남녀비는 약 1.9:1로 남자에서 많았다. 연령은 평균 $55.8{\pm}14.2$세였으며, 남자 $57.9{\pm}14.0$세, 여자 $52.0{\pm}14.1$세로 남자에서 연령이 높았다. 원인 질환으로는 폐결핵이 61명(59.2%)으로 가장 많았고,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29명(28.2%)으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생존율은 1년 생존율 57%, 2년 생존율 45%, 3년 생존율 34%였다. 생존율에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서는 단변량 분석 결과 최대 자발성 호흡량,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혈청 나트륨, 폐활량, 혈청 알부민, 최대 호기량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다변량 분석을 통해서는 혈청 알부민(p=0.0144) 과 폐활량(p=0.0078)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변수들로 판명되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만성 폐성심의 원인 질환으로서 폐결핵이 가장 중요하며, 만성 폐성심의 생존율은 1년 생존율 57%, 2년 생존율 45%, 3년 생존율 34%였다. 혈청 알부민(p=0.0144)과 폐활량(p=0.0078)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