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에서 진단수기의 조직학적 분류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Histologic Accuracy of Diagnostic Methods in Lung Cancer

  • 이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고원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윤호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최승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황보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박계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이춘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Lee, Sa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Won-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n, Ho-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e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wangBo, B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G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oon-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9.10.30

초록

연구배경 : 폐암은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치료방법과 예후가 달라 조직학적 분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객담 세포진법, 경피적 침흡인술 및 침생검,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 등을 이용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가 이루어져 왔고 이에 각 진단수기별로 수술 후 조직학적 분류와 수술 전의 조직학적 분류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분석 가능한 16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객담 세포진법, 경피적 침흡인술 및 침생검, 기관지 세척물의 세포진법, 굴곡성 기관지경 조직생검의 5가지 진단수기별로 분석하였고 수술 후 떼어낸 조직의 병리소견과 비교하여, 우연에 의해서도 올 수 있는 일치정도를 배제하여 산출한 일치율의 지표인 k값으로 조직학적 일치율을 평가하였다. 결 과 : 객담 세포진법의 k값은 0.86이었고 편평세포암 34예 중 32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8예 중 7예에서 일치하였다. 경피적 침흡인술의 k값은 0.53이었고 편평세포압 31예 중 14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소세포암은 3예 중 3예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경피적 침생검의k값은 0.77이었고 편평세포암 16예 중 13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32예 중 30예에서 일치하였다. 기관지 세척물 세포진법의 k값은 1.0이었고 편평세포암 29예 중 29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7예 중 7예에서 일치하였다. 굴곡성 기관지경 조작생검의 k값은 0.77이었고 편평세포암 52예 중 51예에서 수술 후 병리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소세포암은 2예 중 1예에서 일치하였다. 결 론 : 객담세포진법, 경피적 침생검, 기관지 세척물의 세포진법, 굴곡성 기관지경 조직생검은 k값 0.75 이상으로 아주 높은 일치율을 보여주었으나 경피적 침흡인술은 이에 비해 낮은 0.5 내외로 경피적 침흡인술 시행시 경피적 침생검을 병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Identification of the histologic cell type of lung cancer is important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treatment modality and prognosis. Currently, many diagnostic methods are used to determine the cell type. We have studied to evaluate the histologic accuracy of each diagnostic methods in lung cancer. Method : 168 case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who underwent curative thoracotomy for lung canc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February, 1997. Sputum cytology,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PCNA), percutaneous needle biopsy(PCNB), bronchial washing cytology and flexible bronchoscopic biopsy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e k coefficient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the histologic diagnosis obtained by each methods and the one derived from thoracotomy. Results : The k value in sputum cytology was 0.86. In the 34 case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Q), 32 cases were finally diagnosed as having such by thoracotomy. 7 of the 8 cases with adenocarcinoma(AD) turned out to have the same. The k value in PCNA was 0.51. In the 31 cases with SQ, only 14 cases were finally diagnosed as having such. All of the 3 cases with small cell carcinoma(SC) turned out to have the same. The k value in PCNB was 0.77. The diagnosis was correct in 13 of the 16 patients with SQ and in 30 of the 32 cases with AD. The k value in bronchial washing cytology was 1.0. In all of the 29 cases with SQ and all of the 7 cases with AD, the diagnosis was correct. The k value in flexible bronchoscopic biopsy was 0.77. The diagnosis was correct in 51 of the 52 cases with SQ and in 1 of the 2 cases with SC. Conclusion : The concordance rate with the final histologic diagnosis in sputum cytology, PCNB, bronchial washing cytology and flexible bronchoscopic biopsy were excellent ($k{\geq}0.75$), while that in PCNA was fair (k=0.53). Because PCNA showed lower concordance rate than other diagnostic methods, PCNA is recommended to perform with PCNB.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