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호흡환자의 기관절개 시행 시기에 따른 결과 분석

Outcomes in Relation to Time of Tracheostomy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 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태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남준식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중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hin, Jeon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Tae-R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Park, Young-M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Nam, Ju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eon, Seon-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ang, Ju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1999.09.30

초록

연구배경: 중환자실에서 기관절개의 적용은 보편화된 술기중의 하나이지만, 장기간의 기계 호흡으로 인한 기관삽관으로부터 기관절개로의 이행의 최적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조기 기관절개는 기도 유지가 용이하며 구강 관리나 이동이 보다 자유로운 등의 장점이 있으나 병원내 감염이나 기도 협착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절개의 시행시기와 예후간의 관련성을 관찰하여 최적의 기관 절개의 시기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로서 35명의 내과계 및 15명의 외과계 환자를 대상으로 APACHE III 점수, 병원내 감염의 발생, 임상상의 변화에 대해 기관절개일로부터 28일간의 자료를 관찰하였다.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의 구분은 기관삽관시로부터 7 일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각각 25명씩이었다. 결과: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은 각각 2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8{\pm}18$세 및 $63{\pm}17$세로 조기 기관절개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기관절개까지 소요된 평균 시간은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에서 각각 3일과 13일이었다. 대상 환자의 원인 장기별 분포는 뇌 신경계 27례(54%), 호흡기계 14례(28%), 순환기계 4례(8%), 소화기계 4례(8%), 요로계 l례(2%)의 순이었고, 기관절개의 목적은 장기간 기계호흡이 필요하여 사행한 경우가 43례로 가장 많았고, 응급 기도확보가 5례, 그리고 분비물 제거를 위해 시행한 경우가 2례였으며, 조기 및 후기의 양환자군 사이의 기관절개 목적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기관삽관시, 기관절개시와 기관절개일로부터 7일간의 APACHE III 점수는 조기 및 후기군의 양군에서 유사하였다. 이를 다시 생존자군과 사망자군으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도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병원내 감염의 발생, 기계호흡으로부터의 이탈과 사망률에 있어서도 가관절개일로부터 28일간을 관찰시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군간에 어떤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사망률은 기관절개일부터 7일간 관찰기간중에 APACHE III 점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관절개의 시기와 기관절개 이전의 기계호흡 시행 일수 등에 따른 사망률의 증가는 없었다. 결론: 조기 기관절개는 병의 중증도, 원내 감염, 기계호흡의 지속 일수, 그리고 사망률에 있어 어떤 장점도 보이지 않았으며, 최적의 기관절개 시기는 개개의 임상적 판단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espite widespread use of tracheostomy in intensive care unit, it is still controversial to define the best timing from endotracheal intubation to tracheostomy unde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Early tracheostomy has an advantage of easy airway maintenance and enhanced patient mobility whereas a disadvantage in view of nosocomial infection and tracheal stenosis.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he proper timing of tracheostom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35 medical and 15 surgical ICU patients who had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August 1998 with the observation of APACHE III score, occurr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clinical outcomes during 28 days from tracheostomy in terms of early (n=25) vs. late (n=25) tracheostomy. We defined the reference day of early and late tracheostomy as 7th day from intubation.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ere 25 each in early and late tracheostomy group. The mean age were $48{\pm}18$ years in early tracheostomy group and $63{\pm}17$ years in late tracheostomy group, showing younger in early tracheostomy group. The median duration of intubation prior to tracheostomy was 3 days and 13 days in early and late tracheostomy groups. Organs that caused primary problem were nervous system in 27 cases(54%), pulmonary 14(28%), cardiovascular 4(8%), gastrointestinal 4(8%) and genitourinary 1(2%) in the decreasing order. Prolonged ventilation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purpose of tracheostomy in both groups. APACHE m scores at each time of intubation and tracheostomy were slightly higher in late tracheostomy group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Day to day APACHE III scor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ith observation upto 7th day after tracheostomy, Occurr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ion, and morta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observation of 28 days from tracheostomy. The mortality was increased as the APACHE m score upto 7 days after tracheostomy increased, but there were no increment for the mortality in terms of the time of tracheostomy and the days of ventilator use before tracheostomy, Conclusion: The early tracheostomy seems to have no benefit with respect to severity of illness, nosocomial infection, duration of ventilatory support, and mortality. It suggests that the time of tracheostomy is better to be decided on clinical judgement in each case. And in near future, prospective, randomized case-control study is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