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Role of CT and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Diagnosis of Hemoptysis

객혈 진단을 위한 CT와 가관지경의 역할 비교

  • Choe, Kyu-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Division of Pulmona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Kim, Hyun-So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Division of Pulmona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Hong, Young-Ko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Division of Pulmona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Seo, Jae-Seo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Division of Pulmona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Ryu, Jeong-Ah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Division of Pulmona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Yang, Dong-Gy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verance Hospital)
  • 최규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방사선 의과학 연구소) ;
  • 김현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방사선 의과학 연구소) ;
  • 홍용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방사선 의과학 연구소) ;
  • 서재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방사선 의과학 연구소) ;
  • 류정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방사선 의과학 연구소) ;
  • 양동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호흡기내과)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호흡기내과)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호흡기내과)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호흡기내과)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호흡기내과)
  • Published : 1999.08.30

Abstract

Background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T as a screening tool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with that of the fiberoptic bronchoscopy (FOB) in evaluating the causes of hemoptysis. Method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plain chest radiograph, CT and FOB was done in 72 patients with hemoptysis. The diagnosis were confirmed by histology (n=33), bacterial culture (n=6), cytology (n=3), serology (n=2), skin test (n= 1), clinical response (n=5), and airway disease mainly by HRCT (n=22). Results: The causes of hemoptysis were shown to be lung cancer (n=29), bronchiectasis (n=19), tuberculosis (n=12), aspergilloma (n=5), invasive aspergillosis (n=l), COPD (n=3) and others (n=3). The sensitivity was 100% and 91,7% by CT and FOB respectively. The diagnostic compatibility was 95.8% and 59.7% by CT and FOB respectively. The diagnostic compatibility in cases with central airway disease was 96.3% and 100 % in CT and FOB. In parenchymal disease, CT and FOB showed 91.3 % and 43.5 % of compatibility, respectively. airway disease, CT and FOB showed 100% and 31.8% compatibility, respectively. That is to say, CT has higher sensitivity and diagnostic compatibility than FOB for identifying the causes of hemoptysis, and is more helpful for patients with hemoptysis from parenchymal or airway disease. FOB had the advantage in obtaining histologic, cytologic and bacteriologic diagnosis with biopsy or washing Conclusion: CT should be used as the screening method before performing FOB for patients with hemoptysis who have normal or nonspecific findings or peripheral airway disease in plain chest radiograph.

연구배경: 객혈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CT의 진단 일치율을 알아보고, 기관지경 검사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 방법의 진단 기여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72명의 단순 흉부 촬영, CT, 기관지경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폐암이 29명, 기관지확장증이 19명, 결핵이 12명, 아스페루길루스종이 5명, 그리고 기타 7명 이었다. 결과: 확진은 조직 검사 (n=33), 균 동정(n=6), 세포진검사 (n=3), 혈청 검사(n=2), 피부 반응 검사 (n=1), 결핵 혹은 폐렴 치료에 대한 반응(n=5)으로, 기도 질환 (n=22)은 고해상CT소견을 중심으로 진단하였다. 전체 72명의 객혈 환자들 중 병변 발견율은 CT, 기관지경이 각각 100%, 91,7% 이었고, 진단 일치율은 각각 95.8%, 59.7%였다. CT, 기관지경은 중심성 질환에서 각각 96.3%, 100%의 높은 진단 일치율을, 주변성 폐질환에서 각각 91.3%, 43.5%의 진단 일치율을 보였고, 기도 질환에서 각각 100%, 31.8% 의 진단 일치율을 보였다. 즉, CT는 객혈의 원인을 발견하는데 기관지경보다 높은 병변 발견율 진단 일치율을 보이며, 폐실질 혹은 기도 질환에서 더욱 유용하다. 기관지경은 생검과 조직 검사, 세포진 검사를 통하여 조직학적, 미생물학적 확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단순 흉부 촬영은 진단 발견율은 낮으나, CT와 기관지경 중 어느것을 먼저 선택할 것 인지와 CT 촬영 방법의 선택에 대한 지침을 줄 수 있다. 결론: 따라서 객혈 환자에서 단순 흉부 촬영상 중심성 기도질환 이외의 진단을 시사하거나, 정상 소견을 보일 경우 CT는 기관지경에 앞서 기본적인 검사 방법이 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