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choscopy and Surgical Lung Biopsy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ulmonary Infiltrates in Immunocompromised Hosts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에서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의 유용성

  • Park, Sang-Joon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Soo-Jung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oh, Young-Min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Gee-Young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o-Joong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won, O-Jung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Hong-Ghi (Division of Hematology/Oncolo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Rhee, Chong-H.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ung, Man-Pyo (Division of Pulmonol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박상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강수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고영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서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김호중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권오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이홍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
  • 이종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정만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Published : 1999.08.30

Abstract

Background: Pulmonary infiltrate in immunocompromised hosts has many infectious and non-infectios etiologies. To evaluate the diagnostic yield and therapeutic implication of two invasive diagnostic methods, such as bronchoscopy and surgical lung biopsy, we performed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atients. Methods: All immunocompromised patients admitted to Samsung Medical Center from October 1995 to August 1998 who underwent bronchoscopy and/or surgical lung biopsy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infiltrat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nfirmative diagnostic yield, the rate of changed therapeutic plan and patients' survival were investigated. Results: Seventy-five episodes of pulmonary infiltrates developed in 70 patients(M : F=46 : 24, median age 51). Underlying diseases of patients were hematologic malignancy(n=30), organ transplantation(n=11), solid tumor(n= 12), connective tissue disease(n=6) and others. Confirmative diagnosis was made in total 53 cases (70.7%), of which 70.2% had infectious etiology. Diagnostic yields of bronchoscopy, bronchoalveolar lavage(BAL), transbronchiallung biopsy(TBLB) and surgical lung biopsy were 35.0%(21/60), 31.4%(16/51), 25.0%(9/36) and 80.0%(20/25). Therapeutic plan was changed in 40%(24/60) of patients after bronchoscopy and in 36%(9/25) of patients after surgical lung biopsy. More patients survived (84.4% vs 60.5%, p=0.024) when therapeutic plan was changed after invasive diagnostic study. Conclusion: Bronchoscopy and surgical lung biopsy are helpful for the therapeutic implication of pulmonary infiltrates in immunocompromised hosts. Large-scale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may further clarify their limitation and usefulness.

연구배경: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은 진행속도가 빠르고 이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 개시가 필요하지만, 정상 면역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비침습적인 방법만으로 확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저하 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의 진단에 있어 침습적 진단수기인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면역저하환자 중 새로운 폐침윤이 발생하여 기관지내시경이나 수술적 폐생검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료 기록과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는 70명이었으며 총 75례의 폐침윤이 발생하였다. 남자가 46명, 여자가 24 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1세(12~88세)였다. 기저질환으로는 혈액악성종양이 30명, 장기이식 11명, 고형종양 12명, 결체조직질환 6명, 기타 11명이었다. 2) 폐침윤의 원인이 확진된 경우는 75례중 53례 (70.7%)였고, 이 중 감염성 원인이 70.2%이었다. 3) 기관지내시경 검사는, 시행받은 60례 중 21례에서 확진이 가능하여 35.0%의 진단율을 보였다. 기관지폐포세척술의 진단율은 31.4%, 경기관지폐생검술은 25.0%였다. 수술적 폐생검을 시행받은 20례(80.0%)에서 화긴이 가능하였다. 4) 기관지내시경 후 치료방침의 변화는 전체 60례 중 24례(40.0%)에서 관찰되었고 수술적 폐생검의 경우 25례 중 9례(36.0%)에서 관찰되었다. 5) 입원기간 중 생존율은 70.7%(53/75)였다. 폐침윤의 확진 여부와 생존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으로 원인이 확진된 환자들의 생존율은 75.6%, 확진이 안된 경우의 생존율은 64.7%였다(p>0.05). 반면에 치료방침의 변화가 있었던 군에서의 생존율(84.4%)은 그렇지 못한 군(60.5%)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24). 결론: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은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기관지내시경이나 수술적 폐생검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하여는 경험적 치료군과의 대규모 전향적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