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Span-Height Relationship for Prediction of Spirometric Values in Korean Adult Women

우리나라 성인여성에서 정상 폐활량 예측을 위한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신장과의 관계

  • Koh, Won-Jung (Environmental Epidem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Ju, Young-S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Tae-Yub (Environmental Epidem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rk, Jae-Sung (Environmental Epidem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Yu, Seung-Do (Environmental Epidem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Kwaung-Soo (Environmental Epidem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ek, Do-Myung (Occupational Health Program,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고원중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역학조사과) ;
  • 주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태엽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역학조사과) ;
  • 박재성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역학조사과) ;
  • 유승도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역학조사과) ;
  • 최광수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역학조사과) ;
  •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보건학교실)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Back ground : Arm span measurements provide a practical substitute for standing height to predict normal spirometric values in subjects unable to stand or those with a skeletal deformity such as kyphoscoliosis. The relationship between arm span and height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as either a fixed ratio unaffected by age or as a regression equation in which the ratio varies as a function of age. The fixed ratio or regression equation is known to be specific for sex and race. Methods :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height, arm span, and age in 381 Korean adult female subjects (ages 20 to 69 yrs) sampled in a general population. Results : The mean ratio for arm span to height is 1.004. Multiple linear analysis found arm span and age to be predictive of standing height (p=0.0001, $r^2$=0.76). We performe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height using either fixed ratio or regression equation and actual height. At the extremes of arm span and age, the ratio method either underestimated(at smaller arm span or younger age) or overestimated(at larger arm span or older age) as compared with actual height (p=0.0001).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imated height using the fixed ratio method provides a less acceptable method of estimating height for the prediction of lung volumes in the Korean adult women when compared with the regression equations, especially at the extremes of stature or age.

연구배경 : 척추의 이상굴곡 등으로 신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환자에서 정상폐활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양팔벌린 손끝길이를 측정하여 신장을 예측한다. 연령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비(AS/Ht ratio)를 이용하는 방법과 연령을 고려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는 인종에 따라 다르다고 알려져있다. 대상 및 방법 : 우리나라 성인여성에서 양팔별린 손끝길이와 신장 그리고 연령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20-69세의 성인여성중 연령별로 표본추출된 381명(평균연령 $46.6{\pm}12.8$세, 평균신장 $154.3{\pm}5.7cm$)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우리나라 성인여성의 AS/Ht ratio는 $1.004{\pm}0.023$이다. 다중선형회귀분석상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연령이 모두 신장과 유의한 선형적 관련성을 보였다. Height(cm)=0.7094 Arm span(cm)-0.0891 Age(yr)+48.54(p=0.0001, $r^2$=0.76) AS/Ht ratio를 통한 신장 예측값와 실측값의 차이 즉, 잔차(residual)는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연령에 의해서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 (p=0.0001). 양팔벌린 손끝길이 또는 연령이 감소할수록 AS/Ht ratio에 의한 신장 예측값은 실측값보다 낮아지며, 양팔벌린 손끝길이 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AS/Ht ratio에 의한 신장 예측값은 실측값보다 높아진다. 회귀방정식을 통한 신장 예측값과 실측값의 차이는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연령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p>0.05). 결 론 : 우리나라 성인여성에서 정상폐활량 추정을 위한 신장 예측치를 구하고자 할 때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연령의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고정된 AS/Ht ratio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 As/Ht ratio는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연령의 양 극단에서 신장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