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yocardial Ischemia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 호흡기 적용에 따른 심근 허혈의 발생에 관한 연구

  • Kim, Tae-H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Shim, T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김태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유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응급의학과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5.30

Abstract

Introduction : Although myocardial ischemia tends to occur more frequently than can he documented in ventilated patients, it has not been well studi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 ischemia. Methods :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to ischemia development, a prospective study was done in 95 cases with consecutive 73 patients who had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MV) in MICU. In addition to 24 h holter monitoring, echocardiogram, electrolytes, cardiac enzymes, hemodynamic, and gas exchange measurements were done within 24 h after initiation of MV in 69 cases.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at weaning period in 26 cases. The ischemia was defined by the ST segment changes; up-sloping depression more than 1.5 mm or down-sloping or horizontal depression more than 1.0 mm from isoelectric baseline for 80 ms following J point. Results : Twelve patients(12.6% in 95 cases) developed ischemia in total. The incidence of ischemia development showed an increased tendency in the initial 24 hr after MV (15.9%) and in patients with left-sided heart failure found by echocardiogram (18.2%) compared with that of the weaning period (3.8%) and patients without heart failure (10.9%) (P=0.12, P=0.09, in eac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PACHE III score, baseline ECG findings, electrolytes abnormalities, use of inotropics or bronchodilators, presence of sepsis or shock, mode of ventilation,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schemia. Maximal heart rates and mean arterial pressure also were not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137.2{\pm}30.9/min$, $82.5{\pm}15.9$ mm Hg) and without ischemia ($l29.5{\pm}29.7/min$, $83.8{\pm}17.6$ mm Hg). Conclusion : Although the incidence of myocardial ischemia was 12.6% in total, there were no clinically predictable factors to the development of ischemia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 급성 호흡 부전으로 인공 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인공 호흡기 적용 및 이탈 시에 혈역학적 변화에 의해 심근 허혈이 발생될 수 있으나, 이에 연관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급성 호흡 부전으로 인공 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혈역학적 변화가 가장 심하게 초래될 수 있는 치료 시작 시와 이탈 시에 발생하는 심근 허혈의 빈도 및 그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 호흡 부전으로 서울 중앙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인공 호흡 치료를 받은 73명, 95예(남 : 여=35 : 38, 연령=$62.8{\pm}17.3$)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종 호흡 치료 시작 (69예) 및 이탈 (26예) 시에 24시간 holter monitoring을, 인공 호흡 치료 기간 중 1회의 심초음파를 실시하였다. 이탈 측정치 26예 중에서 5예는 이탈 시만 측정되었다. 심근 허혈은 1.5mm이상의 upsloping ST depression이나 1.0mm 이상의 downsloping 혹은 horizontal ST depression으로 정의하였으며, 환자의 증증도의 지표는 APACHE III score를 사용하였다. 결 과 : 24시간 holter monitoring에서 심근 허혈이 나타난 경우는 총 12명 (12.6%)에서 관찰되었고, 인공 호흡 치료 시작 시 11명 (15.9%), 이탈 시 1명 (3.8%)으로 시작 시에 심근 허혈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p=0.12). 심초음파상 좌심부전이 없었던 73예 중에서는 8예(10.9%), 있었던 22예 중 4예(18.2%)에서 심근 허혈이 관찰되어 좌심부전이 호흡 부전과 동반된 경우 심근 허혈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존 심전도상 심근 허혈이나 이전의 심근 경색이 의심되었던 경우는 총 20예 (21.1%)로, 이중 2예 (10%)에서 심근 허혈이 관찰되어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인공 환기 시작이나 이탈 시 저산소증이나 과탄산혈증 및 전해질 이상의 유무, 혈중 CK-MB level, APACHE III score, shock의 유무, 패혈증의 유무, 인공 환기 양식, inotropics의 사용 여부 등은 심근 허혈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검사 중의 최대 심박수와 최저 평균 혈압용 심근 허혈이 없었던 군에서 $129.5{\pm}29.7bpm$, $83.8{\pm}17.6mmHg$, 심근 허혈이 있었던 군에서 $137.2{\pm}30.9bpm$, $82.5{\pm}15.9mmHg$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급성 호흡 부전으로 인공 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 심근 허혈은 12.6%에서 관찰되었으며 주로 인공 환기 시작 시에 관찰되었고, 좌심부전이나 심전도 이상의 유무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