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Investigation of Women with Asthma Worsened During Pregnancy

임신 중 천식의 악화로 내원한 환자의 임상적 고찰

  • Kwon, Young-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Ky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Jung, Hye-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ung-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Je-Hy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o-R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ang-Yeu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in-Hy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 Jae-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m, Jae-J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ang, Ky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oo, Se-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In, Kw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권영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경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혜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승룡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제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소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신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재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경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광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Background : Asthma is the most common respiratory crisis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occurring in up to 4% of all pregnancies. Pregnancy often appears to alter the course of asthma. But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variable changes in the asthma course during pregnancy remain unknown. Poor control and exacerbations of asthma during pregnancy may result in serious maternal and fetal complications. To investigate the course of asthma during pregnancy in korean women, we did a retrograde study of 27 pregnant women who had been admitted to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asthma worsened. Method: Twenty seven pregnant women who had been visited to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asthma worsened were enrolled in our retrospective study. We reviewed medical recordings and interviewed patients with asthma. Results: Twenty seven pregnant women with asthma were evaluated, and 25 patients were enrolled to our study. Two patients experienced abortions at 6 weeks and 25 weeks gestation, respectively. The period of asthma worsened was commonly during weeks 20 to 28 of gestation. And all patients wosened were improved during the last 4 weeks of pregnancy. Twenty(80%) of 25 women whose asthma worsened during pregnancy reverted toward their prepregnancy status after delivery(p<0.002). The causes of asthma worsened during pregnancy are reduction or even complete cessaton of medication due to fears about its safety(40%), worsening after upper respiratory infection (28%), and unknown(32%). There were no adverse perinatal outcomes in 25 pregnant asthma subjects. Conclusions: A major problem of therapy for asthma during pregnancy is reduction or even complete cessation of medication due to fears of fetal effects. Therefore, maternal education and optimal clinical and pharmacologic management is necessary to mitigate maternal and fetal complications.

연구배경: 천식은 임신과 관련된 가장 흔한 호흡기 발작이다. 임신은 천식의 임상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약 1/3에서 임신 전에 비해 증세가 악화된다. 이 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 할 경우 산모나 태아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 천식이 악화되어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천식의 임상 경과 및 악화된 원인에 대해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방 법: 1989년 1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임신 중 천식이 악화되어 고대 안암병원 및 구로병원에 내원하였던 27명의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2명은 각각 임신 6주와 25주에 임신 중절을 하였고, 나머지 25명은 정상 분만을 하였다. 정상 분만한 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과 환자 면담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2세(24-38세)였다. 임신 중 악화된 시기는 8-36주까지 다양하였으나, 임신 20-28주 사이에 14명(56%)이 악화되어 가장 많았다. 36-40주 사이에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악화된 환자들은 경구 프레드니손, 흡입용 베타2-항진제, 아미노필린 치료 후 호전되었으며, 임신 중 악화된 환자들 모두 분만 4주 전에는 호전되었다. 임신 때와 비교하여 25명 중 20명(80%, p<0.002)이 분만 후 호전되어 다시 임신 이전 상태로 돌아갔으며, 나머지 5명(20%)은 임신 때와 비교하여 변화가 없었다. 임신 중 악화된 원인을 추정하면 감기 증세가 있은 후 악화된 경우가 7명(28%), 임신 후 약 복용을 중단하여 악화된 경우가 10명(40%),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8명(32%)으로 나타났다. 정상 분만한 25명의 태아는 모두 건강하였고, 선천적 기형이나 분만 중 천식으로 인한 이상은 없었다. 2 회 이상 임신한 경험이 있는 8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다른 임신 때와 비교하여 천식의 임상 경과를 조사해본 결과 이전과 같은 경우가 3명, 이전보다 악화된 경우가 5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2명은 첫 번째 임신때는 천식증세가 없었으나 두 번째 임신 때 천식이 악화되어 내원하였고, 나머지 3명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임신 때는 증세가 미약했으나 세 번째 임신 때 증세가 악화되어 내원하였다. 결 론: 임신 중 천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 환자는 임신 중반기 특히, 임신 20-30주 사이를 주의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임신 중 천식 약을 중단하는 것이 천식이 악화되는 흔한 원인이므로 천식 환자에게 충분한 교육과 함께 임신기간 중에도 적극적인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