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iratory Failure of Acute Organophosphate Insecticide Intoxication

유기인제 중독에 의한 호흡부전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Chang-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oong-K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yun-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창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충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현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3.30

Abstract

Background: Because of the widespread use and availability of agricultural insecticides, acute organophosphate poisoning as a suicide or an accident is becoming the most common type of poisoning and serious problem in Korea. The mortality of organophosphate poisoning varied from 10 to 86 percent. The cause of death was thought to be a combination of excessive bronchial secretion, bronchospasm, respiratory muscle paralysis and depression of respiratory center, summarily respiratory failure. We evaluated the respiratory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to determine the predisposing, factors to respiratory failure and to reduce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failure or mortality. Meth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111 patients with the discharge diagnosis of organophosphate poisoning who were hospitalized at Yenug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5 years. The diagnosis of organophosphate poisoning has based on the followings (1) a history of exposure to an organophosphate compounds. (2) the characteristic clinical signs and symptoms. (3) decrease in the cholinesterase activity in the serum. Results: Respiratory failure developed in 31(28%) of 111 patients with acute organophosphate poisoning. All cases of respiratory failure developed within 96 hours after poisoning and within 24 hours in 23 patients. The 80 patients who did not develop respiratory failure survived. In 31 patients with respiratory failure, 15(44%) patients were dead. The patients with respiratory failure had more severe poisoning, that is, the lower level of serum cholinesterase activity on arrival, the higher mean dosage of atropine administered within first 24 hours. In 16 patients with pneumonia, 14 patients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In 5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collapse, 2 patients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There was no correlation to between age, sex, the use of pralidoxime and respiratory failure. The serum cholinesterase level in survivors at time of respiratory failure and weaning was $66.05{\pm}85.48U/L$, $441{\pm}167.49U/L$, respectively. Conclusion: All the respiratory failure complications of acute organophosphate poisoning occurred during the first 96 hours after exposure. The severity of poisoning and pneumonia were the predisposing factors to respiratory failure. Aggressiv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above factors will reduce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failure.

연구배경: 유기인제는 국내에서 1950년대부터 농업용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공업용 화공약품으로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중독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아트로핀, PAM 또한 호흡부전 발생시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적극적인 치료로 사망률은 과거보다 감소하였으나, 호흡부전으로 인한 사망은 유기인제 중독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저자들은 유기인제 중독시 호흡부전의 발생 빈도 및 그 유발 인자를 관찰 분석하여 유기인제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유기인제 중독증으로 진단 받은 11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히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의 임상 소견 및 치료 방법, 혈중 cholinesterase 활성도 등을 조사하여 호흡부전 발생과 관계가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결 과: 유기인제 중독환자 111례 중 자살 목적인 경우가 81례로 가장 많았고, 중독 정도도 가장 심하였다. 환자 중 15례에서 사망하였으며, 사망률은 14%였다.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 중 23예가 중독 후 24시간이내, 8례는 25시간에서 96시간이내 발생하였으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호흡부전 발생 빈도가 높았다.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 중 15례에서 사망하였고, 호흡부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사망한 예가 없었다. 16예의 환자에서 폐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14례에서 호흡부전이 생겨, 폐렴이 생긴 대부분의 환자에서 호흡부전이 발생하였다. 심혈관 허탈은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2례에서 호흡부전이 생겼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첫 24시간동안 아트로핀의 평균 요구량은 $56{\pm}65mg/dl$이고, 급성 호흡부전인 경우 아급성 호흡부전이나 호흡부전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보다 아트로핀 요구량이 더 많아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아트로핀 요구량이 더 많았다. PAM으로 치료하였던 95례 중 26예와, 치료하지 않았던 16예 중 5례에서 호흡부전이 발생하여 PAM 치료 여부와 호흡부전 발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cholinesterase 활성도는 호흡부전이 발생하였을 때보다 인공호흡기 이탈시 7배정도 높았으며, 인공호흡기로 치료한 기간은 급성 호흡부전이 생겼을 때 유의하게 길었다. 결 론: 급성 유기인제 중독에 의한 호흡부전은 중독 후 첫 96시간 이내 주로 발생하며, 중독 정도와 폐렴 발생이 호흡부전 발생의 중요한 유발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독 후 첫 96시간 동안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고 적극적인 아트로핀 투여와 기도 확보 및 흡인성 폐렴 방지로 호흡부전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