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inese Poems in Je-Ma Yi's Dongmuyougo

이제마(李濟馬)의 『동무유고(東武遺藁』에 나타난 한시(漢詩) 연구(硏究)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The Chinese poems written by Je-Ma Yi may b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facets: one is about a broad spectrum of a man's feelings covering from delight to sorrow; and the other is about self-caution. He has been known to be a warrior having strong self-respect and a man of tough personality reluctant to compromise with ot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his poem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he was an ordinary person who got along with his neighborhood, took a pleasure in appreciating natural beauty and wandered around in agonies of pain. The literary features reflected in his self-caution poems are compatible with his own philosophical thought. Through these poems, he revealed his autonomous perception of life, and its ultimate goal was placed on the fulfillment of moral obligation, the highest value that a man should achieve as an individual. Je-Ma Yi's Chinese poems are in full harmony with the general tendency shown in the area of poet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Yi dynasty. As pointed out above, particular qualities are represented in his poems, and thereby, from comparative perspectives with his unique literariness, future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directed to a well-defined study on other contemporary writers.

지금까지 동무 이제마는 의학자 및 사상가로서의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동무의 이러한 면모 이외에 그가 지은 한시를 분석하여 동무가 문인으로서도 훌륭한 자질을 갖고 있었으며 독자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하고 있던 인물이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한다. 문인으로서의 동무의 진면목이 밝혀진다면 이는 동무 연구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것이 될 것이다. 필자가 접한 동무의 한시는 모두 20수이다. 동무는 23세부터 35세까지의 청장년기에 한시를 주로 지었으며 44세이후 격치고를 저술하면서부터는 한시를 그다지 많이 짓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동무가 지은 한시는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삶과 방랑의 과정에서 겪는 일상사를 형상화한 것이고 또 하나는 자신과 주변 인물들의 행동거지를 경계하는 자경시이다. 동무가 삶을 노래한 시는 4수 뿐 이지만 이 시편들은 모두 압운을 정확하게 지키고 있으며 시를 지을 당시의 내면심사가 곡진하게 표현되어 있고 수사적 표현도 세련되어 있어서 동무의 한시 문학 세계가 일정한 수준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그의 자경시는 한시의 정형성을 완전히 지키고 있지는 않은데, 이것은 당시 조선후기의 문단에 팽배해 있던 조선시의 자각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특히 자경시는 그 내용이 동무의 사상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동무의 사상이 시의 형태로 표현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겠다. 동무는 그의 한시를 통해 다정 다감하고 솔직한 인간적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동무의 면모는 전혀 새롭게 밝혀지는 것으로써, 저명한 의학자요 유학사상을 바탕으로 한 사려 깊은 사상가로서의 모습 이외에 진정한 인간적 실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미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韓國漢詩史 閔丙秀
  2. 韓國漢文學史 李丙疇(外)
  3. 東武遺藁 이창일(譯);李濟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