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Lee Je-ma's viewpoint of Morpho-Image

이제마(李濟馬) 형상관(形象觀)의 구조적(構造的) 고찰(考察)

  • Lee, Jun-hee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Koh, Byung-hee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Song, Il-byung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이전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Lee Je-rna'os viewpoint of Morpho-Image. In the first place, I will define the viewpoint of Morpho-Image as the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and study it through bibliographic study on Lee Je-ma's work. The conclusion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represented in "Gyukchigo(格致藁)" "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ky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is based on Taigi(太極), Liangyi(兩儀), Sasang(四象). There are the mind of Taigi(太極), the mind of Liangyi(兩儀) separated from Taigi(太極), the mind of Sasang(四象) separated from Liangyi(兩儀). The mind of Taigi(太極) is the mind of center, the mind of Liangyi(兩儀) is the mind of the mind and body(or the wisdom and action). Two axis, the mind(or wisdom) and the body(or action), cross and make Sasang(四象), affair-mind-body-object which classifies all affairs and objects of humans, society, and the universe as four types. 2. Lee Je-ma summarized everything in view of Sasang(四象), Sasang(四象) in view of Liangyi(兩儀), Liangyi(兩儀) in view of Taigi(太極). 3. The procedure of recognition above is described in , , . Such is transformed in terms of human body and described in .

연구목적(硏究目的) : 고대철학가(古代哲學家)들은 우주(宇宙)의 본원(本元)을 연구하는 동시에 인류생명의 기원과 본질을 탐구하였는데 기존의 정기학설(精氣學說), 음양학설(陰陽學說), 오행학설(五行學說) 등등은 이러한 시도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형상관(形象觀)을 사물(事物)을 바로보는 기본적인 인식체계(認識體系), 인식론(認識論), 자연현상(自然現象) 인체현상(人體現象)을 설명하는 이론적(理論的)인 도구 등으로 정의(定意)하고 동무(東武)의 형상관(形象觀)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방법(硏究方法) : 동무(東武)는 자신의 형상관(形象觀)을 자신의 저서(著書)인 "격치고(格致藁)",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등에서 서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동무(東武)의 저서(著書)를 바탕으로 그가 어떤 방법론으로 형상(形象)을 서술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인체(人體)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論)하였다. 결론(結論)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격치고(格致藁) 태극잠(太極잠)", "격치고(格致藁) 유략(儒略) 사상(事物),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나고 있는 인식의 구조는 태극(太極), 양의(兩儀), 사상(四象)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태극지심(太極之心)이 있고, 거기서 이분법적(二分法的)으로 분파된 양의지심(兩儀之心)이 있고, 거기서 분파(分派)된 사상지심(四象之心)이 있다. 태극지심(太極之心)은 중앙지심(中央之心)이고, 양의지심(兩歲之心)은 신심(心身) 또는 지행(知行)으로 표현이 되는데, 심적(心的) 지적(知的) 요소의 축과 신적(身的) 행적(行的) 요소의 축이 교차하여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四象)을 형성한다. 사상(四象)으로부터는 기존의 주역(周易)에서와 같은 이분법적(二分法的)인 분파(分派)에 의해 입괘(八卦)가 형성이 되는 것이 아니라며 사분법적(四分法的)인 분파(分派)에 의해 사사단(四四端)을 형성한다. 이상이 동무의 기본인식체계의 구조라 할 수 있다. 2. 동무(東武)는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적(四象的) 시각에서 그 기본을 삼고, 이를 다시 심신양의적(心身兩儀的) 시각에서 요약하여 정리하고 이를 태극적(太極的)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요약하여 보는 인식의 요약과정을 갖는다. 3. 이상의 인식과정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성명론(性命論) 사단론(四端論) 확충론(擴充論)에도 마찬가지로 정리되어 나타나니, 천품지이정(天稟之已定)의 요소이며, 인(人)의 요소인 사물(事物)의 상하(上下)의 축과 천품지이정지외(天稟之已定之外)의 요소이며 아(我)의 차원인 심신(心身)(지행(知行))의 축을 그 기본구도로 전개하며, 그 양축을 바탕으로 사심신물(事心身物)(천인지행(天人知行))의 사원적(四元的)구도와 그 상호관계를 논(論)하고 있다. 4. 동무(東武)의 태극(太極), 양의(兩儀), 사상(四象) 다시 말해서 심(心), 심신(心身),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인식구조는 인체에서의 용어로 바뀌어져 병증론(病證論)으로의 가교 역할을 하는 장부론(臟腑論)에 표현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四象醫學 전국한의과대학사상의학교실
  2. 四象醫學原論 홍순용;이을호
  3. 四象醫學 全國 韓醫科大學 四象醫學 敎室
  4. 格致藁 이제마
  5. 朝醫學 燕邊朝鮮民族自治州 民族醫學硏究所
  6. 臟象學 박찬국(역)
  7. 黃帝內徑素問 홍원식(편)
  8. 한의학원론 김완희(편)
  9. 周易正義 이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