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olistic Study of the Physiology of the Kidney and its Symptom

신장생리(腎臟生理)의 유기적 통일성과 그 병후(病候)에 관한 고찰

  • Suh, Man-Wan (Dep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 Kim, Gil-Whon (Dep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서만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김길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99.02.28

Abstract

This paper documents a holistic study of the kidney and its symptom.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organs and its diseases have been studied from th e viewpoint of the connecting role of the kidney channel of foot-shaoy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unction of the kidney has specific re lations with the liver, lung, heart, urinary bladder, throat, tongue, chest, sole of the foot, inside of the thigh and waist. These mutual relations reflect the pathological changes of the kidney. So physiological function and symptom of the kidney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 gh the connecting role of the kidney channel of foot-shaoyin on the concept of the organism as a whole. This is the key of the clinical treatment based on the precept sof oriental medicine.

한의학은 유기체의 관점에서 생체기능의 통일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생체기능의 유기적 통일성은 기운(氣運)과 이치로 인식되며, 경락(經絡)은 기혈(氣血)의 매개를 통하여 장부(臟腑) 조직 기관의 사이를 밀접하게 연계하여 유기체에 대한 생리(生理) 병리(病理)의 보다 완전한 인식과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에 근거하여 신장(腎臟)생리의 유기성과 그 병후(病候)를 경기(經氣)의 교통(交通)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경기교통(經氣交通)은 신장(腎臟)과 간(肝) 폐(肺) 심(心) 방광(膀胱) 및 후롱 설본(舌本) 흉부(胸部) 족심(足心) 고내후염(股內後廉) 요(腰)의 형체조직(形體組織)과 밀접한 관계를 구축하여 협조(協助) 통일(統一)의 생리를 발휘하고, 병리적으로 신장(腎臟)의 병변(病變) 병후(病候)에 대한 유기적 인식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신장(腎臟)과 그 경락(經絡)의 동시적 인식은 한의학의 이론과 임상의 실재에 부합되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관건이 된다고 사료(思料)된다.

Keywords